DMZ Collections

D.M.Z Activities
DMZ 건너편 북한 모습 / 미군 DMZ정찰헌병의 근무
DMZ에서 미 합동감시반과 북한군의 회의 / 인천항에서의 미군 병사 교대
DMZ의 각종 안내판과 철조망 / DMZ 정찰헌병의 근무
PANMUNJOM
UTILIZATION OF KATUSAS
개성과 판문점에서의 정전회담
개성에서의 정전회담 / 파주와 개성 풍경과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개성에서의 정전회담(내봉장, 유엔하우스)
닉슨의 한국군 1사단 OP 방문
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으로 지어진 문산농업학교의 양돈장
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으로 지어진 문산농업학교의 양돈장
딘 소장의 포로 경험 인터뷰(소리 불량)
문산 선유리 주둔 미1해병사단의 활동
미 육군장관 월버 브러커 등의 기지(미24사단, 한국군 1사단, 미7사단) 및 DMZ 전진초소 시찰
미 제9우주사단 활동
미 제9우주사단 활동
미2보병사단 기갑부대 활동 / 의정부 기지 내 활동
미2사단 군인 및 한국군의 DMZ 전방 관측소 활동
미2사단 레크리에이션 센터의 모습 및 활동(야구 경기, 자동차 경주, 풋볼 등)
미군 DMZ 정찰헌병 활동(눈 덮인 DMZ 순찰, 대민 식량지원)
미군 DMZ 정찰헌병 활동(식사, 제식훈련, 순찰, 기관포 조준 등)
미군 DMZ 정찰헌병 활동(초소 근무, 순찰, 배식 등)
미군 DMZ 정찰헌병의 근무 전 준비(물품 지급, 현장 및 근무수칙 교육)
미군 DMZ 정찰헌병의 순찰 근무
미군 기갑부대 훈련 / 잭슨 공군기지 모습(작전실, 비행)
미군대한원조 프로그램으로 건설되는 파주 천현면의 병원과 초등학교
미군대한원조 프로그램으로 신축된 파주여상과 건설되는 금촌도립병원 / 여학생과 배구하는 미군
미군대한원조 프로그램으로 지어진 문산농업학교와 고아원(상광보린원, 박애원)의 모습 / 아이들과 시간을 보내는 미군
미군대한원조 프로그램의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설 현장 / 아이들에게 달력을 나눠주는 미군
북한군이 포획된 어민 3명 석방
석방을 위해 판문점으로 떠나는 미송환포로(북한인민군·중국인민지원군)
영국군 부대에 방문한 밴 플리트 / 한국 상륙한 에티오피아군
영연방군(호주, 캐나다, 영국)의 임진강 도하 및 야전에서의 일상
이승만의 미8군사령관 표창 수여식 / 임진강 홍수로 인한 다리 유실 / 가교 건설
임진강 인근 미군 탱크부대의 전투
임진강 주둔기지에서의 영연방사단 활동(차량 수리, 포 사격)
임진나루에서의 전투(포격지원, 포로 이송 및 심문)
임진나루의 기러기(Honker) 다리 재건
정전협정 조인식(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판문점) 1
정전협정 조인식(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판문점) 2
정전회담 전 모습
캐나다군의 훈련 / 캐나다군·영국군·네덜란드군 출병 모습
태국군 사열 및 환송 행사
파주 DMZ 비무장지대 표지판 설치
파주 대성동 자유의 마을
파주 자유의 다리(임진철교) 보수 공사
파주 주둔 미군의 부상자 후송 작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 미군 DMZ 정찰헌병의 일상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와 판문점 전경
판문점 자유의 집
판문점 전경
판문점에서 북한 측의 정전협정 위반을 두고 열린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판문점에서의 부상포로교환 작전
판문점에서의 중립국감시위원회 회의
판문점으로 들어서는 미군과 중립국감시위원회 / 노획된 북한의 침투 무기
한국근무단 노동자들의 둑 공사 / 미군 박격포 부대 전투
해당없음
헬기에서 바라본 DMZ / 미군의 DMZ 순찰 / 판문점에서의 중립국감시위원회 회의
헬기에서 바라본 눈 덮인 공동경비구역 / 돌아오지 않는 다리와 북측 경비초소
헬기에서 본 DMZ와 파주 전경(철책, 초소, 철교 등)
헬기에서 본 판문점 전경 / 미군 기갑부대 훈련
훈장 수여식 / 흥남부두 / 문산 남쪽으로의 피난 행렬

item object

D.M.Z Activities

이 영상은 1967년 10월 미군과 북한군과의 비무장지대에서 충돌 사례와 공동경비구역(JSA) 전경 등을 보여주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JSA 내부와 회의장 등이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21분 44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DMZ 건너편 북한 모습 / 미군 DMZ정찰헌병의 근무

이 영상은 1959년 12통신사진중대에서 파주 DMZ에서 촬영한 것으로 장단 인근 녹슨 기차를 모습과 북한 지역을 담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기관차와 객차는 여러 사진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video | 10분10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DMZ에서 미 합동감시반과 북한군의 회의 / 인천항에서의 미군 병사 교대

이 영상은 합동감시반에서 비무장지대 일대를 조사하는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기 비무장지대의 모습과 철조망 그리고 군사분계선 등을 볼 수 있다

video | 11분 15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DMZ의 각종 안내판과 철조망 / DMZ 정찰헌병의 근무

이 영상은 1959년 12통신중대에서 파주 DMZ에서 촬영한 것으로 DMZ 일대 표지판과 각종 경고판 등을 담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DMZ, MDL, 각종 경고 표지판 등은 전시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video | 9분54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PANMUNJOM

판문점에서 북한군 기자들이 카메라를 들고 촬영하는 장면, 미군이 북한군을 촬영하는 장면이 나온다. 회의장 안을 촬영하는 북한과 미군들이 보이고, 판문각과 이동하는 북한군 모습 등이 이어진다. 전시된 각종 탄창과 총 등이 나온다.

video | 11분0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UTILIZATION OF KATUSAS

이 영상은 영 기지와 그 주변에서 통신 작업을 펼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video | 4분41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개성과 판문점에서의 정전회담

이 영상은 1951년 9월 24일 개성에서 판문점으로 정전협상 장소를 이전을 논의하는 시기이다. 앞의 영상 중 ADC-9558은 1951년 10월 18일 촬영분인데 개성에서 판문점으로 이동한 뒤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NPC-14703 영상은 개성과 판문점 등을 교차해 보여주고 있는데 회담장소를 논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video | 4분2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개성에서의 정전회담 / 파주와 개성 풍경과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이 영상은 1951년 11월 11일 개성 내봉장에서 개최되는 정전협상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임진강 임진나루에 기러기 다리를 보여주고 있다. 개성에서 선유리로 가는 협상단들이 개성 거리와 기러기 다리, 선유리 유엔임시사령부 등 여러 장면을 담고 있다.

video | 11분4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개성에서의 정전회담(내봉장, 유엔하우스)

이 영상은 1951년 7월 10일 개성 본 회담 직후 연속으로 개성에서 개최되는 정전협상 영상. 같은 시기또는 장소에 따라 여러 영상들이 있으며 다른 기록군에서도 확인 가능. 본 영상은 본 회담 개최 직후 양측의 모습과 주변 광경 등을 비교적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167통신사진중대는 극동사령부 직속 영상부대이며 화이트가 직접 촬영했다. 전체적으로 영상은 안정적이며 구도와 장면 구성이 좋은 편이다. 촬영 카메라는 아이모 35mm인데 같은 시기에 유행하던 기종이다. 활용 방안에서 연구팀이 제시한 <판문점&DMZ> 관련 전시 및 아카이브에 매우 활용하는데 충분한 의미를 갖고 있다.

video | 7분2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닉슨의 한국군 1사단 OP 방문

이 영상은 1953년 11월 14일부터 문산읍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펠햄기지와 한국군 1사단 초소 일대에서 훗날 미국 부통령 닉슨이 방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전협정 체결 이후 약 4개월 지난 뒤 펠햄 기지와 DMZ 등을 볼 수 있다. 특히 닉슨은 1953년 1월부터 1961년 1월까지 36대 미국 부통령을지냈으며 1969년 1월 37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 영상은 닉슨이 부통령으로 선출된 이후 첫 한국 방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video | 5분4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으로 지어진 문산농업학교의 양돈장

이 영상은 앞의 파주상업학교와 연결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 일환에서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 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50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으로 지어진 문산농업학교의 양돈장

이 영상은 앞의 파주상업학교와 연결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 일환에서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 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27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딘 소장의 포로 경험 인터뷰(소리 불량)

이 영상은 LC-33798과 유사하다. 이 장면은 자유의 마을에서 딘 소장이 북한인민군에게 포획되고 석방되기까지 인터뷰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은 유성이나 불량이다.

video | 6분4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문산 선유리 주둔 미1해병사단의 활동

이 영상은 문산읍 선유리 돈유울(KAC‘HAL-LI)에 소재한 미 해병1사단 기지의 영상이다. 이미 문서에서 RG 127, UD-UP 19, Box 32에 1953년 3월 지휘일지(Command Diary report, 1953. 03)에서 해병 1사단과 1공병대대가 선유리 돈유울에 주둔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본 영상은 유엔군임시사령부와 인접했으며 펠햄 기지 초기 모습을 담고 있다. 촬영한 부대는 알 수 없지만 촬영자 커슬링이다. 전체적으로 영상은 안정적이며 구도와 장면 구성이 좋은 편이다. 촬영 카메라는 아이모 35mm인데같은 시기에 유행하던 기종이다. 영상은 개성 내봉장에서 개최되는 정전회담 내용을 함께 담고 있다.

video | 5분4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 육군장관 월버 브러커 등의 기지(미24사단, 한국군 1사단, 미7사단) 및 DMZ 전진초소 시찰

이 영상은 미 육군장관 윌버 브러커 등이 파주 관할 군내면 판문점 내 한국군 1사단 지역과 24사단 주둔지를 방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4사단 주둔지는 지금의 문산읍 선유리 펠햄기지이며 한국군 1사단은 군내면 조산리 인근 초소이다. 펠햄 기지가 미 해병1사단에서 24사단으로 교체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초기 파주지역 DMZ 초소 상태나 현황을 알 수 있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video | 10분2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 제9우주사단 활동

미 제9우주사단 활동이 담겨 있다.

video | 9분1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 제9우주사단 활동

미 제9우주사단 활동이 담겨 있다.

video | 14분 4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2보병사단 기갑부대 활동 / 의정부 기지 내 활동

이 영상은 두 파트로 나눠지는데 2보병사단 기갑부대의 임무와 1954년 2월 10일 의정부 내 기지 활동 등이다. 첫 장면은 기갑부대가 평지와 도로 등지를 이동하고, 자유의 다리를 지난 장면이 포함되었다.

video | 10분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2사단 군인 및 한국군의 DMZ 전방 관측소 활동

미육군 2보병사단과 한국군이 전방 관측소에 들어가는 미군들과 초소에서 바라보는 북한 지역, 전차로 이동하는 장면 등이 담겨 있다. 미군과 한국군의 수사팀이 미확인 병사가 도랑에 사망한 것을 보여주고, 전초 기지에 기관총을 거취한 상태에 있는 미군이 나온다.

video | 5분 47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2사단 레크리에이션 센터의 모습 및 활동(야구 경기, 자동차 경주, 풋볼 등)

이 영상은 1970년 7월 26일 미 2보병사단의 1레크리에이션센터 내부와 외부 모습이다. 이곳은 1955년부터 1971년까지 법원읍 법원리 용주골에 24보병사단과 1기병사단 7연대, 2보병사단 등이 이용했다. 주로 병사들이 휴일에 와서 각종 게임이나 기타 여가활동을 할 수 있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30분15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군 DMZ 정찰헌병 활동(눈 덮인 DMZ 순찰, 대민 식량지원)

이 영상은 1956년 2월 8일 눈 덮힌 DMZ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video | 6분3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군 DMZ 정찰헌병 활동(식사, 제식훈련, 순찰, 기관포 조준 등)

미2사단 내부 기지 장교식당에서 배식을 받아 식사하고 있는 장면, 야외에서 식시를 세척하는 장면, 스틸사진가 카메라를 들고 있는 장면, 기지 전경과 총들고 달리는 미군병사들, DMZ에서 기관포에 조준장면, DMZ 순찰 장면 등이 이어진다.

video | 11분1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군 DMZ 정찰헌병 활동(초소 근무, 순찰, 배식 등)

눈이 내리는 기지와 DMZ 인근을 순찰 도는 미군 병사들, 트럭에서 쌀을 내리는 장면 등이 이어진다.

video | 6분3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군 DMZ 정찰헌병의 근무 전 준비(물품 지급, 현장 및 근무수칙 교육)

이 영상은 1959년 125통신사진중대에서 파주 DMZ에서 촬영한 것으로 DMZ 일대 표지판과 각종 경고판 등을 담고 있는데 앞의 LC-44331와 유사하다. 하지만 영상에서 DMZ 근무 수칙과 보고 방법 등을 기술한 포스터 등을 보여주고 있다. DMZ 내 근무자가 민간행정, 경비, 정보 등 세 분야에서 활동해야했다. 특히 영상은 사진이나 문서에서 확인할 수 없는 개개인의 DMZ 활동 수칙 등이 상세히 언급된 것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125통신중대는 2차 세계대전부터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서 활약했다.

video | 5분1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군 DMZ 정찰헌병의 순찰 근무

이 영상은 진동면 동파리 왕촌마을에 건설된 영 기지와 DMZ 정찰 활동 등을 담고 있다. 영 기지는 저어새 구역(동파리 일대)에서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었다. 영상에는 군사분계선 표지판 등을 볼 수 있다.

video | 8분5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군 기갑부대 훈련 / 잭슨 공군기지 모습(작전실, 비행)

잭슨 기지 내 1군단 51통신대대 본부 건물과 한 병사가 짚차에서 짐을 내리는 장면, 기지 내의 건물 모습, 기지 정문에 보초와 잭슨기지 표지판, 헌병이 교통정리하는 장면, 한국경찰의 보초서는 장면, 잭슨 기지의 작전실과 비행기 정비하는 장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video | 해당없음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군대한원조 프로그램으로 건설되는 파주 천현면의 병원과 초등학교

이 영상은 1954년 3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파주 천현면과 법원읍 등지에 병원과학교 건설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1954년 금촌민사병원 건설 직후 관계자가 나와 미군에게 건축에 감사 인사하는 장면이 매우 인상적이다. 천현면 천현국민학교 건축에 사용될 기와장을 옮기는 학생들과 공사 장면이 이어진다. 또한 법원리에 소재하는 한 학교의 건축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주민들이 먼저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학교를 재건하는 의미 있는 영상이라고 하겠다. 훗날 1963년 추가로 학교와 병원이 증축되기도 했다.

video | 9분8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군대한원조 프로그램으로 신축된 파주여상과 건설되는 금촌도립병원 / 여학생과 배구하는 미군

이 영상은 1954년 3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파주 금촌 파주여자상업학교와 금촌 민사병원 건설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영상에서 파주여상 교사는 이미 건축한 상태이다. 한 장면에는 운동장에서 학생들이 미군 관계자와 함께 배구하는 장면, 학교 전경 등으로 구성된 영상이다. 1954년 금촌민사병원 1차 완공 이후 추가로 병원이 증축되고 있다. 병원장 이 박사와 미군 담당 하옌이 공사 현황과 주변을 둘러보고 있다. 영상에는 두 사람 모두가 매우 만족한 표정이다. 특히 공사에는 지역 주민들이 직접 고용되어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9분58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군대한원조 프로그램으로 지어진 문산농업학교와 고아원(상광보린원, 박애원)의 모습 / 아이들과 시간을 보내는 미군

이 영상은 앞의 영상 LC-47511와 이어지며 문산농업학교뿐만 아니라 파주 내 상광보린원과 박애원 건축, 고아원들 모습이 담겨 있다. 앞의 영상과 동일하게 미군대한원조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건축 사업이다. 파주에는 고아원과 육아원 등 15개 이상 소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 한국전쟁 시기 설립되었다고 한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7분37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군대한원조 프로그램의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설 현장 / 아이들에게 달력을 나눠주는 미군

이 영상은 앞의 파주상업학교와 연결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 일환에서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 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7분 58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북한군이 포획된 어민 3명 석방

이 영상은 1955년 9월 13일 북한군에 포획된 한국군 3명을 석방하는 장면이다. 영상에 나오는 한국인3명의 ‘어민(Fishermen)’은 1953년 9월 15일 언론에서 한국군이라고 알려졌다(『동아일보』, 1955. 9.15). 신문에서 9월 13일 북한은 “간첩으로 포로된 한국군 3명을 석방하겠다”고 했다. 유엔군과 북한합동군사휴전위원단 비서회의에서 북한은 17일 판문점에서 한국군 3명을 유엔측에 인도하겠다고 했다. 이에 유엔군 측은 “한국군 3명이 무장간첩으로 북한에 파견되었다는 북한군측 비난을 부인했다”고한다. 북한 주장은 3명의 한국군이 7월 22일 간첩을 목적으로 다수의 북한어부들을 납치하기 위하여 2명의 무장간첩을 북한수역에 파견했다고 비난했다. 영상 설명에는 “141차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에서 3명의 어부가 북한에서 데려오고 있다.”라고 적고 있다. 아주 짧은 영상이지만 초기 판문점과 중립국감독위원회 주변을 보여주고 있다.

video | 01:00 (총 10:05)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석방을 위해 판문점으로 떠나는 미송환포로(북한인민군·중국인민지원군)

이 영상은 1954년 1월 20일 해병1사단 통신부대에서 판문점으로 향하는 미송환 중국인민지원군 포로들, 미송환 북한인민군 포로들이 석방되는 장면이다. 전체 약 14,000명 중국인민지원군 포로들 가운데제주 모슬포에 수용되었다가 인천 부평제10포로수용소에서 잠시 휴식한 뒤 자유의 다리를 거쳐 판문점으로 이동했다. 이들은 당일 인천항에서 대만 지룽항으로 출항했다. 일부 포로들은 비행기를 이용해 대만으로 이동했다. 또한 1953년 6월 18일 이승만 지시에 탈출하지 못한 북한인민군 포로들이 판문점에서 석방되어 포항 제2육군신병훈련소로 이동해 군사 및 재교육 등을 받았다.

video | 9분28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영국군 부대에 방문한 밴 플리트 / 한국 상륙한 에티오피아군

이 영상은 1951년 5월 유엔군사령관 벤 플리트가 임진강 일대 방어전에서 활약한 영국군 29독립여단에 방문해 포상하는 장면이다. 영국군 주둔지는 파주 일대에 있었다.

video | 59초 (총10:11)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영연방군(호주, 캐나다, 영국)의 임진강 도하 및 야전에서의 일상

이 영상은 1951년 6월 7일 임진강 중간 지점에서 가교를 건설해 이동하는 장면이다. 영연방군은 영국군, 호주, 캐나다, 호주, 일부 인도 의료부대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 1영연방사단은 적성면 감악산 외에도 임진강 적성면 두지리와 주월리 일대에서 작전을 펼쳤다. 영상에 나오는 임진강 가교는 정확하게 어느 곳인지 알 수 없다. 촬영은 연합군최고사령부 예하 통신중대이지만 정확한 부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코네리는 연합군최고사령부 24군단 123통신사진중대에서 활동했다.

video | 9분1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이승만의 미8군사령관 표창 수여식 / 임진강 홍수로 인한 다리 유실 / 가교 건설

이 영상은 리비교(Libby Bridge)와 임진강 기러기(Honker) 다리에서 홍수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1953년 7월 7일 리비교가 홍수에도 붕괴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7월 8일 기러기 다리가 홍수로 인해 유실되었지만 다시 공사를 재개하고 있다.

video | 7분5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임진강 인근 미군 탱크부대의 전투

이 영상은 1951년 6월 4일 임진강 일대에 홍수와 주변 다리 모습을 담고 있다. 문산가도(1번국도)와 주변 풍경이 이채롭다. 이 시기는 기러기 다리가 가설되기 이전 임진강 일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영상이라고 하겠다.

video | 9분51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임진강 주둔기지에서의 영연방사단 활동(차량 수리, 포 사격)

이 영상은 앞의 ADC-9199와 연결되는 영상이다. 1951년 9월 임진강 일대에 주둔하고 있는 1영연방사단 예하 부대들의 기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영연방사단에는 영국군 27독립여단을 비롯해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인도군 등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기지는 적성면 설마리와 감악산 일대와 임진강 상류 지역에 포진했다. 영상은 영국군과 캐나다, 인도 의료지원부대 주둔지를 중심으로 보여주고 있다.

video | 9분40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임진나루에서의 전투(포격지원, 포로 이송 및 심문)

이 영상은 1951년 3월 31일 임진강 임진나루와 임진진의 진서문 일대를 보여주고 있다. 영상에는 진서문의 성벽이 완전히 파괴되기 직전 초석과 주변 건물(초가) 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임진진 일대 복원 사업과 연결해 충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촬영부대와 특징을 보면 극동사령부 183통신중대 중사 반즈가 촬영한 것인데 전체 영상의 구성과 촬영 기법 등에서 매우 안정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다. 극동사령부의 산하 영상부대는 176, 183통신중대 사진반이 유명하다.

video | 10분 27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임진나루의 기러기(Honker) 다리 재건

이 영상은 1951년 7월 임진강 홍수로 인해 유실된 임진나루의 기러기(Honker) 다리 재건장면이다.

video | 4분34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정전협정 조인식(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판문점) 1

이 영상은 1953년 7월 27일 북한 소재 판문점 조인장(지금의 평화박물관) 주변 모습과 같은 오후 1시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에서 유엔군 관계자가 사전에 조인하고 기자회견 장면이 담겨 있다. 보통 판문점 조인장 영상이 유엔군임시사령부에서 유엔군 관계자가 사전 조인하는 장면을 동일하게 편집되어 방송 언론에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영상은 판문점과 선유리 유엔임시사령부 조인과 기자회견이 다른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목에 등장하는 운크라 영상부대(UNKRA Film Unit)는 1950년 12월 1일 유엔의 결의에 따라 유엔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UNKRA) 소속이며 주로 한국에서 구호활동 등을 촬영해 유엔홍보부 등에 제공했다. 304통신운영대대는 용산기지에본부를 둔 미 8군 사령부 지휘 아래 활동한 유명한 부대이며 전쟁포로 교환 작전과 전후 1970년대까지 활동했다.

video | 8분3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정전협정 조인식(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판문점) 2

이 영상은 앞의 LC-34222와 연결되는 영상이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조인식 장면이다. 304통신운영대대는 용산기지에 본부를 둔 미 8군 사령부 지휘 아래 활동한 유명한 부대이며 전쟁포로교환작전과 전후 1970년대까지 활동했다.

video | 7분55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정전회담 전 모습

이 풍경은 개성에서 열리는 회담 장면과 판문점 모습을 보여준다.

video | 1분 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캐나다군의 훈련 / 캐나다군·영국군·네덜란드군 출병 모습

이 영상은 1951년 10월 18일 임진강 일대에 주둔한 캐나다군의 훈련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문산 민간인들이 캐나다군의 훈련하는 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주민들의 표정과 모습이 이채롭다.

video | 9분4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태국군 사열 및 환송 행사

밴드가 등장하고 2사단장이 사열 받는 장면, 민간인들이 모여 있는 장면, 아이들이 2사단장에게 꽃다발 전달하는 장면

video | 11분14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파주 DMZ 비무장지대 표지판 설치

이 영상은 1953년 8월 파주 DMZ에서 비무장지대 표지판을 설치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미 해병1사단 1공병대대원들은 1953년 8월 25일부터 파주 DMZ에서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출입금지’ 표지판 작업을 펼쳤다. 따라서 비무장지대 표지판 설치 작업 관련해 문서, 사진, 영상 등이 존재한다. 영상은 1953년 8월 촬영되었지만 1957년 3월 파라마운트사에서 재편집한 것이다.

video | 1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파주 대성동 자유의 마을

이 영상은 1969년 5월 대성동 마을 일명 ‘자유의 마을’이라고 불리는 전략촌이다. 1954년 2월 3일 귀농선 확정이후 민통선 마을이 생겨났다. 이 시기 군사분계선으로부터 25km 이내에 민통선 지역인 강화, 김포, 파주 등지에는 62개의 자립안정촌(61곳)과 비무장지대촌(1개)이 지정되었다. 자립안정촌은 군의 통제가 비교적 약한 곳으로 입주민은 주로 원주민과 출입경작자를 포함한 이주들로 구성되었으며 마을 출입을 제외하면 일반 농촌마을과 같았다. 비무장지대촌은 자립안정촌과 달리 북한의 선전촌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마을이다. 대성동 ‘자유의 마을’은 비무장지대촌이자 전략촌(Strategic Hamlet)인데 임주조건이 매우 엄격하고 군복무를 필한 사람, 신체 건강하고 영농 능력이 있는 사람, 사상이 건전하고 전과 사실이 없는 사람, 주벽 및 도벽이 없고 채무가 없는 사람이어야 입주할 수 있었다. 전략촌은 1962년 미군에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의 주민들을 분열시키고자 만들어진 농촌 마을을 말한다. 대성동 마을은 1953년 8월 3일 비무장지대촌으로 지정되었고 1960년 3월 11일 미군에서 대성동 마을 주택 프로젝트의 시찰 및 평가가 이뤄졌다. 주택은 30가구 27평 규모이며 마을 회관은 주택보다 작은 14평이었다. 공사는 한국군 민사과, 미군 공병대 등이 참여했다. 1차 주택공사는 1959년 10월 착공해 미군 군사대한원조프로그램에 따라 학교 건축, 마을회관 등을 건설했다. 영상은 대성동 마을 주택과 마을회관, 마을주민들의 활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video | 3분 1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파주 자유의 다리(임진철교) 보수 공사

이 영상은 1952년 10월 14일 304통신운영대대에서 자유의 다리(임진철교, 문산읍 마정리-장단면 노상리)를 복수하는 것을 담고 있다. 이 공사는 2건설공병단 84건설공병대대가 직접 나섰는데 기존 임진강 철교의 보수공사와 문산읍 마정리 ‘독개다리’와 연결하는 다리 공사를 맡아 진행된 것이다.

video | 10분58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파주 주둔 미군의 부상자 후송 작전

이 영상은 1953년 1월부터 2월 사이 파주 비무장지대에서 열차로 부상병을 수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주 어느 부대이지만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전체 영상의 구성에서 야전 기지, 병원 열차를 통해 철교, 비행기 수송까지 일종의 홍보영상이다.

video | 9분5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 미군 DMZ 정찰헌병의 일상

이 영상은 1956년 3월 기점에서 판문점의 공동경비구역과 돌아오지 않는 다리, 비무장지대 내 표지판 등을 볼 수 있다. 공동경비구역 내 북한인민군 경비병이 자유롭게 순찰하는 장면과 미군 촬영 사병이 인민군 경비병을 촬영하는 장면이 매우 인상적이다. 전체 영상은 구성이나 흐름에서도 매우 우수한 편이다.

video | 10분27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이 영상은 파주 군내면 조산리 일대 판문점과 역대 6명의 미국 대통령들이 방문한 ‘메이즈’(지금의 오울렛 초소)와 판문점 회담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메이즈 초기 모습이 담긴 영상은 향후 전시와 연계해 활용될 수 있다.

video | 5분1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미군, 북한군, 유엔군 경비병들과 함께 군사정전위원회 회의하는 장면들, 방문자가 주변을 둘러 보고 있다. Harry Sands(USAF) 장군은 회의 장소를 떠나 차를 타고 출발한다. 북한 경비병들이 행진하고 있다. 한국 언론인들은 북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video | 6분25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와 판문점 전경

판문점에서 북한군 기자들이 카메라를 들고 촬영하는 장면, 미군이 북한군을 촬영하는 장면이 나온다. 회의장 안을 촬영하는 북한과 미군들이 보이고, 판문각과 이동하는 북한군 모습 등이 이어진다. 전시된 각종 탄창과 총 등이 나온다.

video | 11분0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 자유의 집

이 영상은 1965년 11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남쪽 지역에 ‘자유의 집’ 건축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남북 사이 충돌 위기 상태에서 새롭게 등장한 ‘자유의 집’은 북한이 규정을 위반해 건축물을 건축하자 이에 대응해서 세워진 것이다. 영상 앞부분은 베트남에서 미군의 학교 건설 장면이 있다.

video | 04:56-07:13 (07:45)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 전경

판문점 전경이 보인다.

video | 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에서 북한 측의 정전협정 위반을 두고 열린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판문점의 회담장소가 보이며 그 주변에 경비병 헌병들이 서 있다. 회담장에서 창문을 통해 보는 경비병과 회장장 안에 있는 북한군 모습 등이다. 이 영상은 군사정전위원회가 열린 판문점이다.

video | 10분11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에서의 부상포로교환 작전

이 영상은 1953년 4월 20일 판문점에서 부상포로 교환 작전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video | 2분1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에서의 중립국감시위원회 회의

북한과 한국의 DMZ를 순찰하는 군대 활동, DMZ에서 쌍안경을 관측지점으로 바라보고 있는 장면, 검문소를 지나는 차량과 근무 서는 헌병 모습이 담겨 있다.

video | 10분11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으로 들어서는 미군과 중립국감시위원회 / 노획된 북한의 침투 무기

이 영상은 1968년 6월 판문점 자유의 집 부근에서 북한의 침투 관련 무기들이 전시되고 있다. 이 시기 김신조의 청와대 습격사건과 푸에블로호 사건 등으로 위기촉발되었다. 자유의 집 앞에서 북한 노획 무기 전시는 김신조 사건 때 북한군들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video | 8분44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한국근무단 노동자들의 둑 공사 / 미군 박격포 부대 전투

이 영상은 1951년 9월 27·28일 양일간 한국근무단 대원들이 임진강 일대에서 홍수로 유실된 다리를 건설하는데 동원되었다. 유실된 다리는 기러기(Honker) 다리이며 여러 차례 홍수로 인해 파괴되고 말았다. 근무단 병사들이 직접 돌을 이용해 복구하는 장면이 이채롭다. 영상은 극동사령부 예하 226통신중대 베리스가 촬영한 것이다. 226통신중대는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들의 활동 등을 촬영했다.

video | 6분48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해당없음

이 영상은 1951년 10월 18일 정전협상장인 판문점으로 이동하는 차량과 홍수로 붕괴한 임진강 기러기 다리를 보여준다. 기러기 다리는 홍수로 인해 여러 차례 유실되었다가 다시 복구되는 악순환을 겪었다. 이 영상은 1951년 6월부터 10월까지 기러기 다리의 상황을 설명하는데 중요하다.

video | 7분1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헬기에서 바라본 DMZ / 미군의 DMZ 순찰 / 판문점에서의 중립국감시위원회 회의

미육군 2보병사단과 한국군이 전방 관측소에 들어가는 미군들과 초소에서 바라보는 북한 지역, 전차로 이동하는 장면 등이 담겨 있다. 미군과 한국군의 수사팀이 미확인 병사가 도랑에 사망한 것을 보여주고, 전초 기지에 기관총을 거취한 상태에 있는 미군이 나온다.

video | 10분 27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헬기에서 바라본 눈 덮인 공동경비구역 / 돌아오지 않는 다리와 북측 경비초소

이 영상은 1969년 2월 판문점 상공에서 판문점 주요 건물과 공동경비구역 일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눈보라치는 판문점 일대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video | 2분46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헬기에서 본 DMZ와 파주 전경(철책, 초소, 철교 등)

이 영상은 1967년 9월 30일, 10월 3일 두 차례 나눠 파주 DMZ부터 철책 공사, 임진강 철교에 이르는 다양한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비무장지대가 철책으로 바뀌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 외에도 판문점 및 공동경비구역(JSA), 전진초소 등을 공중 촬영한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영상은 일반에 공개되는 것은 처음이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22분3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헬기에서 본 판문점 전경 / 미군 기갑부대 훈련

공중에서 본 판문점 전체 전경과 그 주변 풍경이 담겨 있다.

video | 10분2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훈장 수여식 / 흥남부두 / 문산 남쪽으로의 피난 행렬

이 영상은 문산에서 남쪽으로 피난을 떠는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950년 6월 25일부터 파주 지역 각 면마다 남성들을 중심으로 일부가 피난을 떠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롱면 남자들은 김포나 고양 등지에 피난을 떠나거나 자원입대했다고 한다. 노인, 여성, 아이들은 피난을 떠나지 않고 현지에 거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1년 1.4 후퇴에 월롱면 주민들은 그렇게 흩어져 피난을 떠나거나 현지에 거주했다. 하지만 금촌이나 다른 면에서는 남쪽으로 피난을 떠나기도 했다

video | 4:33 (총9:36) |

아이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