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em object

개성과 판문점에서의 정전회담

이 영상은 1951년 9월 24일 개성에서 판문점으로 정전협상 장소를 이전을 논의하는 시기이다. 앞의 영상 중 ADC-9558은 1951년 10월 18일 촬영분인데 개성에서 판문점으로 이동한 뒤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NPC-14703 영상은 개성과 판문점 등을 교차해 보여주고 있는데 회담장소를 논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video | 4분2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 제9우주사단 활동

미 제9우주사단 활동이 담겨 있다.

video | 9분1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 제9우주사단 활동

미 제9우주사단 활동이 담겨 있다.

video | 14분 4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미2사단 군인 및 한국군의 DMZ 전방 관측소 활동

미육군 2보병사단과 한국군이 전방 관측소에 들어가는 미군들과 초소에서 바라보는 북한 지역, 전차로 이동하는 장면 등이 담겨 있다. 미군과 한국군의 수사팀이 미확인 병사가 도랑에 사망한 것을 보여주고, 전초 기지에 기관총을 거취한 상태에 있는 미군이 나온다.

video | 5분 47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부상포로교환 작전(판문점)

판문점에서의 부상 포로교환 작전인 “리틀 스위치” 작전과 관련된 모습을 담고 있는 여러 영상들 중 하나이다. “자유의 문”(Freedom gate)를 통과하는 포로들의 모습, 그리스 병사로 추정되는 병사들의 후송 장면, 제45 육군 외과병원 천막 등등의 모습을 담고 있는 짧은 분량의 영상이다.

video | 3분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정전협정 조인식(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판문점) 1

이 영상은 1953년 7월 27일 북한 소재 판문점 조인장(지금의 평화박물관) 주변 모습과 같은 오후 1시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에서 유엔군 관계자가 사전에 조인하고 기자회견 장면이 담겨 있다. 보통 판문점 조인장 영상이 유엔군임시사령부에서 유엔군 관계자가 사전 조인하는 장면을 동일하게 편집되어 방송 언론에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영상은 판문점과 선유리 유엔임시사령부 조인과 기자회견이 다른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목에 등장하는 운크라 영상부대(UNKRA Film Unit)는 1950년 12월 1일 유엔의 결의에 따라 유엔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UNKRA) 소속이며 주로 한국에서 구호활동 등을 촬영해 유엔홍보부 등에 제공했다. 304통신운영대대는 용산기지에본부를 둔 미 8군 사령부 지휘 아래 활동한 유명한 부대이며 전쟁포로 교환 작전과 전후 1970년대까지 활동했다.

video | 8분3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정전협정 조인식(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판문점) 2

이 영상은 앞의 LC-34222와 연결되는 영상이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조인식 장면이다. 304통신운영대대는 용산기지에 본부를 둔 미 8군 사령부 지휘 아래 활동한 유명한 부대이며 전쟁포로교환작전과 전후 1970년대까지 활동했다.

video | 7분55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정전회담 전 모습

이 풍경은 개성에서 열리는 회담 장면과 판문점 모습을 보여준다.

video | 1분 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캐나다군의 훈련 / 캐나다군·영국군·네덜란드군 출병 모습

이 영상은 1951년 10월 18일 임진강 일대에 주둔한 캐나다군의 훈련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문산 민간인들이 캐나다군의 훈련하는 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주민들의 표정과 모습이 이채롭다.

video | 9분4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파주 DMZ 비무장지대 표지판 설치

이 영상은 1953년 8월 파주 DMZ에서 비무장지대 표지판을 설치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미 해병1사단 1공병대대원들은 1953년 8월 25일부터 파주 DMZ에서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출입금지’ 표지판 작업을 펼쳤다. 따라서 비무장지대 표지판 설치 작업 관련해 문서, 사진, 영상 등이 존재한다. 영상은 1953년 8월 촬영되었지만 1957년 3월 파라마운트사에서 재편집한 것이다.

video | 13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파주 자유의 다리(임진철교) 보수 공사

이 영상은 1952년 10월 14일 304통신운영대대에서 자유의 다리(임진철교, 문산읍 마정리-장단면 노상리)를 복수하는 것을 담고 있다. 이 공사는 2건설공병단 84건설공병대대가 직접 나섰는데 기존 임진강 철교의 보수공사와 문산읍 마정리 ‘독개다리’와 연결하는 다리 공사를 맡아 진행된 것이다.

video | 10분58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와 판문점 전경

판문점에서 북한군 기자들이 카메라를 들고 촬영하는 장면, 미군이 북한군을 촬영하는 장면이 나온다. 회의장 안을 촬영하는 북한과 미군들이 보이고, 판문각과 이동하는 북한군 모습 등이 이어진다. 전시된 각종 탄창과 총 등이 나온다.

video | 11분02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 전경

판문점 전경이 보인다.

video | 9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판문점에서 북한 측의 정전협정 위반을 두고 열린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판문점의 회담장소가 보이며 그 주변에 경비병 헌병들이 서 있다. 회담장에서 창문을 통해 보는 경비병과 회장장 안에 있는 북한군 모습 등이다. 이 영상은 군사정전위원회가 열린 판문점이다.

video | 10분11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해당없음

이 영상은 1951년 10월 18일 정전협상장인 판문점으로 이동하는 차량과 홍수로 붕괴한 임진강 기러기 다리를 보여준다. 기러기 다리는 홍수로 인해 여러 차례 유실되었다가 다시 복구되는 악순환을 겪었다. 이 영상은 1951년 6월부터 10월까지 기러기 다리의 상황을 설명하는데 중요하다.

video | 7분1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해당없음

  이 영상은 한국전쟁기 국군과 미군포로들이 서울시내에서 심리전에 이용되는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한인민군 통신대 병사가 직접 촬영한 것이며 1950년 9월 서울 수복 이후 미군이 노획한 것이다. 특히 영상에 나오는 장면이 실제 스틸 사진이 100여 장 존재하며 연구팀에서 발굴 및 수집했다. 국내에는 국군 및 미군포로 영상이 공개된 사례가 없다. 1950년 7월 중순에 서울 등지에서 포획된 국군 및 미군포로들이 중앙청과 시내 곳곳에 임시수용되었다가 심리전에 이용되었다.   포획된 국군 및 미군포로들은 북한군에 강제 동원되어 ‘미국의 전쟁 개입 반대’하는 시위와 행진 그리고 기자회견 등을 강요받아야 했다. 영상에서 북한군 점령 아래서 서울 시내 모습과 시민들 모습이 담겨 있다.   특히 1955년 라이프지가 미 육군에 전달한 국군 및 미군포로 사진들을 보면 기자회견 외에도 행진과 국군포로 처리 모습, 포획된 포로들이 한강 철교 아래에서 이동하는 장면 등이 나온다.

video | 3분 47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헬기에서 바라본 DMZ / 미군의 DMZ 순찰 / 판문점에서의 중립국감시위원회 회의

미육군 2보병사단과 한국군이 전방 관측소에 들어가는 미군들과 초소에서 바라보는 북한 지역, 전차로 이동하는 장면 등이 담겨 있다. 미군과 한국군의 수사팀이 미확인 병사가 도랑에 사망한 것을 보여주고, 전초 기지에 기관총을 거취한 상태에 있는 미군이 나온다.

video | 10분 27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헬기에서 바라본 눈 덮인 공동경비구역 / 돌아오지 않는 다리와 북측 경비초소

이 영상은 1969년 2월 판문점 상공에서 판문점 주요 건물과 공동경비구역 일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눈보라치는 판문점 일대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video | 2분46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헬기에서 본 판문점 전경 / 미군 기갑부대 훈련

공중에서 본 판문점 전체 전경과 그 주변 풍경이 담겨 있다.

video | 10분23초 |

아이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