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평화연구센터 디지털아카이브

items 공개현황

2021년 현재 아카이브는 아래와 같은 아이템 및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1년 냉전평화연구센터가 수집한 한국전쟁 / DMZ 관련된 영상 아이템을 중심으로 오픈합니다.

104

Items

200+

Collections

63

Featured Video

9

Featured Photo

stats
Open-Collection

S1포로(RG1) 와 S1DMZ(RG2) 중심으로 104개 영상을 공개합니다.

325통신중대

WAR

이 영상은 1951년 8월 5일 북한인민군 포로들이 심문을 받고 있는 짧은 영상이다.

59분44초

Winslon

대구

S1 포로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MXPOgefJSqE

/r1-한국전쟁/s1-포로수용소/3.-war/

101FEC

WAR 50-185

이 영상은 문산에서 남쪽으로 피난을 떠는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950년 6월 25일부터 파주 지역 각 면마다 남성들을 중심으로 일부가 피난을 떠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롱면 남자들은 김포나 고양 등지에 피난을 떠나거나 자원입대했다고 한다. 노인, 여성, 아이들은 피난을 떠나지 않고 현지에 거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1년 1.4 후퇴에 월롱면 주민들은 그렇게 흩어져 피난을 떠나거나 현지에 거주했다. 하지만 금촌이나 다른 면에서는 남쪽으로 피난을 떠나기도 했다

4:33 (총9:36)

SGT. LESTER MARKS

문산

F1 RG 111-ADC-8635 F2 1951.01.5 F3 문산 F4 FEC F5 SGT. LESTER MARKS F6 무성 F7 9분36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4분36초 : 양방향 길에 한국인 피난민들이 가득하다. 트럭, 우마차, 남녀노소뿐만 아 니라 아이들 등이 도로에 서 있다. # 2롤, 슬레이트 6분23초 : 한국인 피난민들이 우마차나 도보로 피난을 떠나는 장면이다. 손수레에 탄 아이들과 강을 건너는 피난민들이 가득하다.

https://www.youtube.com/embed/hPiL1-2n9ww

/r2-dmz판문점/s2-dmzmdr/101.-war-50-185/

102FEC 183

MUNSAN KOREA

이 영상은 1951년 3월 31일 임진강 임진나루와 임진진의 진서문 일대를 보여주고 있다. 영상에는 진서문의 성벽이 완전히 파괴되기 직전 초석과 주변 건물(초가) 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임진진 일대 복원 사업과 연결해 충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촬영부대와 특징을 보면 극동사령부 183통신중대 중사 반즈가 촬영한 것인데 전체 영상의 구성과 촬영 기법 등에서 매우 안정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다. 극동사령부의 산하 영상부대는 176, 183통신중대 사진반이 유명하다.

10분 27초

BARNES

율곡리|임진리|임진나루

F1 RG 111-ADC-8763 F2 1951.3.31 F3 율곡리, 임진리, 임진나루 F4 FEC 183 F5 BARNES F6 무성 F7 10분 27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01초 : 155mm포들이 북쪽으로 향해 발사되고 있다. # 3롤, 슬레이트 1분48초 제목 한국군, 장소 임진강 : 백선엽이 담배를 피우고 있다. 다른 부관들은 무전을 치거나 지도를 보고 있다. 미군과 영연방군 장교들이 화석정에서 임진강 쪽으로 망원경을 통해 경계하고 있다. 한 병사가 북쪽 임진강을 바라고 보고 있다. (2분39초) 북한인민군 3명의 포로가 지프 차에 타고 있다. # 4롤, 슬레이트 2분52초 : 임진강을 건너가는 나룻배. 배가 임진나루에 도착한다. 북한인민군 포로들 이 내린다. (3분32초) 포로들이 임진진 성벽 옆으로 지나고 있다. 성벽 앞에 포로들이 두 손을 들고 있 다. 임진진 성벽의 하단 주춧돌이 보인다. # 5롤, 슬레이트 3분56초 : 화석정에 모여 있는 한국군. 북쪽 임진강 쪽으로 보면서 경계하고 있다. (4 분:44초) 한국군이 임진진 왼쪽편 언덕에서 임진강을 바라보고 있다. 강물에 반쯤 잠겨 있는 옛 다리 잔해들이 보인다. 이어서 임진나루에 배들이 보인다. (4분54초) 강에서 들러나는 옛 도로가 보인다. # 6롤, 슬레이트 5분01초 : 군인들이 임진강을 건너고 있다. 임진나루 건너편에 도착. 임진나루 인근 에 배들이 정박해 있다. # 3롤, 슬레이트 8분22초 : 극동사령부 183통신중대, 한국 문산리, 제목 임진강 한국군단, 촬영자 로만노우스키, 1951년 3월 31일 백선엽과 부관들이 앉아 있다. 포로들이 포획되어 온다. 백선엽이 포로들을 심문하고 있다. 백선엽은 포로들과 지도를 놓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4롤, 슬레이트 9분20초 : 포로들을 태운 배가 임진나루에 도착한다. (9분48초) 포로들이 임진진터와 초가집 앞을 지나고 있다. 파괴된 성벽들이 보인다. 임진강과 임진나루 건너편이 보인다. (9분58초) 포 로들이 임진진터 앞에 포로들이 두 손을 든 채 앉아 있다. 초가집과 성벽들이 보인다.

https://www.youtube.com/embed/19QOTirHnO8

/r2-dmz판문점/s2-dmzmdr/102.-munsan-korea/

103FEC 183중대

IMJIN RIVER

이 영상은 1951년 6월 4일 임진강 일대에 홍수와 주변 다리 모습을 담고 있다. 문산가도(1번국도)와 주변 풍경이 이채롭다. 이 시기는 기러기 다리가 가설되기 이전 임진강 일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영상이라고 하겠다.

9분51초

BARNES

임진강|문산가도

F1 RG 111-ADC-8775 F2 1951.6.4 F3 임진강, 문산가도 F4 FEC 183중대 F5 BARNES F6 무성 F7 9분51초

숏 리스트 # 7롤, 슬레이트, 01초 : 임진강에 차들이 있다. 강물이 넘쳐 침수되었다. 미군이 부상당해 장갑차로 수송되고 있다. (34초) 포로들이 이송되고 있다. # 5롤, 슬레이트, 1분09초 : 임진강 인근에서 전투, 미군이 건물을 겨냥하고 총을 쏘고 있다. (1분36 초) 초가집들이 보인다. 탱크들이 불타는 초가집 옆으로 지나고 있다. # 6롤, 슬레이트 2분16초 : 문산 가도를 지나고 있다. 탱크가 임진강변에서 지뢰에 체인이 끊어졌다. (4분05초) 불탄 열차와 철로가 있다. 미군들이 철로에 앉아 있다. # 1롤, 슬레이트, 4분 13초, 제목 임진강 : 탱크연대가 임진강 옆을 끼고 전진하고 있다. 파괴되지 않 은 다리와 임진강이 보이고 미군들이 탱크에 올라타고 있다. # 2롤, 슬레이트, 5분19초 : 탱크가 임진강을 건너고 있다. 뒤에 다리가 보인다. 임진강에 부서진 차량 이 보인다. # 3롤, 슬레이트, 6분20초 : 임진강 부근에서 전투가 벌어진다. # 1롤, 슬레이트, 7분28초 : 1951년 6월 4일 임진강, 탱크들이 도로를 따라 이동한다. 임진강이 보인 다. (8분40초) 임진강에서 탱크 옆에서 미군들이 휴식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kNPdHliflPc

/r2-dmz판문점/s2-dmzmdr/103.-imjin-river/

104FEC 183중대

GEN VAN FLEET AT BRITISH BRIGADE

이 영상은 1951년 5월 유엔군사령관 벤 플리트가 임진강 일대 방어전에서 활약한 영국군 29독립여단에 방문해 포상하는 장면이다. 영국군 주둔지는 파주 일대에 있었다.

59초 (총10:11)

ROMANOWSKI

SOSA-RI

F1 RG 111-ADC-8885 F2 1951.5.8 F3 SOSA-RI F4 FEC 183중대 F5 ROMANOWSKI F6 무성 F7 10분11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01초 : 29영국군여단이 연병장에 모여 있다. (59초) 벤 플리트가 연병장에서 연설하 고, 그 옆에 29여단장 제임스가 서 있다. 임진강 주변에서 영웅적인 활동에 대해 포상이 주어졌다.

https://www.youtube.com/embed/19UWPh1Act0

/r2-dmz판문점/s2-dmzmdr/104.-gen-van-fleet-at-british-brigade/

105GHQ

해당없음(임진강)

이 영상은 1951년 6월 7일 임진강 중간 지점에서 가교를 건설해 이동하는 장면이다. 영연방군은 영국군, 호주, 캐나다, 호주, 일부 인도 의료부대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 1영연방사단은 적성면 감악산 외에도 임진강 적성면 두지리와 주월리 일대에서 작전을 펼쳤다. 영상에 나오는 임진강 가교는 정확하게 어느 곳인지 알 수 없다. 촬영은 연합군최고사령부 예하 통신중대이지만 정확한 부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코네리는 연합군최고사령부 24군단 123통신사진중대에서 활동했다.

9분12초

CONNER

임진강

F1 RG 111-ADC-8955 F2 1951.7.6 F3 임진강 F4 GHQ F5 CONNER F6 무성 F7 9분12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08초 : 임진강 가교에 탱크가 지나고 있다. 영국군과 호주, 캐나다군이 지프차를 타고 가교를 건너고 있다. # 2롤, 슬레이트 1분08초 : 임진강 가교 위로 탱크가 지나고 있다. (8분07초) 영연방군이 임진강에서 보트를 이용해 강을 건너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3hNyrDMeCsY

/r2-dmz판문점/s2-dmzmdr/105.-해당없음임진강/

106GHQ

CEASE FIRE

이 영상은 1951년 11월 11일 개성 내봉장에서 개최되는 정전협상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임진강 임진나루에 기러기 다리를 보여주고 있다. 개성에서 선유리로 가는 협상단들이 개성 거리와 기러기 다리, 선유리 유엔임시사령부 등 여러 장면을 담고 있다.

11분42초

Barnes

문산역|임진나루|선유리

F1 RG 111-ADC-9010 F2 1951.7.11.-15 F3 문산역, 임진나루, 선유리 F4 GHQ F5 Barnes F6 무성 F7 11분42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15초 : 병사가 차량에 달린 백기를 접고 있다. 개성이라는 표지판이 보인다. (44초) 임진강 가교를 건너는 지프차가 있다. 아이들과 건물, 초가집들이 보인다. # 2롤, 슬레이트, 1분14초 : 개성의 내봉장 앞에 기자들이 있다. 인민군 병사가 카메라로 미군 촬영병 을 촬영하고 있다. 내봉장 전경이 보인다. 종군 기자들이 내봉장 주변에 앉아 있다. # 3롤, 슬레이트 2분18초 : 개성 주변이 보인다. 헬기장과 통신선 설치 뒤 무전이 시작되고 있다. 개 성의 초가집들이 보인다. (3분13초) 인민군 장교와 한국군 촬영병이 함께 앉아 있다. # 4롤, 슬레이트 3분20초 : 내봉장에서 북한인민군 대표 이상조, 중국인민군 대표 일행들이 나오고, 조이 등 유엔군 대표들이 내봉장을 나온다. 개성 시내 교통정리하는 인민군과 사람들, (4분10초) 임진 강 가교와 임진진터 앞에 초가집과 성벽들이 보인다. # 3롤 슬레이트 5분27초 : 1951년 7월 11일 GHQ. 문산역 표지판에 금촌 10.9km, 장단 11.8km라고 표시되어 있다. 문산역에서 기차가 출발하기 직전이다. 문산역 주변 전경과 역사가 보인다. 미군 문산 역보급창이 보인다. 종군기자들의 차량들이 서 있다. # 4롤, 슬레이트 6분29초 :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에 헬기가 착륙하고 있다. 정전회담 대표들이 내 리고 있다. 기자들이 대표단들 주변에 모여 있다. # 1롤, 슬레이트 7분20초 : 1951년 7월 14일 차량들이 도로를 따라 달리고 있다.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전경과 주변 초가가 보인다. # 2롤, 슬레이트 8분24초 :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전경과 미군들이 보인다. 기자단과 GHQ 소속 촬 영병이 트럭에 탑승하고 있다. # 3롤, 슬레이트 10분30초 : 철조망 주변으로 탱크가 달리고 있다. 개성이라는 표지판이 보인다. 선유 리 유엔군임시사령부 전경이 보인다.

https://www.youtube.com/embed/JMkTB5gC1x8

/r2-dmz판문점/s2-dmzmdr/106.-cease-fire/

107167통신대

51-21

이 영상은 1951년 7월 10일 개성 본 회담 직후 연속으로 개성에서 개최되는 정전협상 영상. 같은 시기또는 장소에 따라 여러 영상들이 있으며 다른 기록군에서도 확인 가능. 본 영상은 본 회담 개최 직후 양측의 모습과 주변 광경 등을 비교적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167통신사진중대는 극동사령부 직속 영상부대이며 화이트가 직접 촬영했다. 전체적으로 영상은 안정적이며 구도와 장면 구성이 좋은 편이다. 촬영 카메라는 아이모 35mm인데 같은 시기에 유행하던 기종이다. 활용 방안에서 연구팀이 제시한 <판문점&DMZ> 관련 전시 및 아카이브에 매우 활용하는데 충분한 의미를 갖고 있다.

7분22초

WHITE

개성 내봉장|유엔하우스

F1 RG 111-ADC-9047 F2 1951. 07. 12 F3 개성 내봉장, 유엔하우스 F4 167통신대 F5 WHITE F6 무성 F7 7분22초

숏 리스트 # 11롤, 슬레이트 11초 : 내봉장에 도착하는 유엔군과 한국군 대표들이 지프차에서 내린다. 조이 및 백 선엽이 보인다. # 12롤, 슬레이트 1분04초 : 내봉장에서 나오는 북한인민군과 중국인민군 대표들, 이상조가 보인다. 내 봉장 앞에서 북과 중국, 유엔군 순으로 지프차가 떠난다. # 13롤, 슬레이트 2분10초 : 유엔하우스가 보인다. 근경, 원경 유엔하우스 전경이다. 주변에 미군 통신 차량이 서 있다. # 14롤, 슬레이트 3분8초 : 미군 장교들이 유엔하우스에서 나오고 있다. 조이 제독 등 백선엽 등이 보 인다. (5분20초) 대표단들이 유엔하우스를 떠나고 있다. 북한, 중국, 유엔군 대표단들이 다시 내봉장 안 으로 들어가고 있다. # 16롤, 슬레이트 5분33초 : 내봉장 안에서 유엔대표들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남북과 중국, 미군 등 종군기자들이 대표단들을 촬영하고 있다. 유엔군 대표단들이 내봉장을 떠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JMxf9iHiq3Y

/r2-dmz판문점/s2-dmzmdr/107.-51-21/

108해당없음

FIRST MAR DIV-KOREA

이 영상은 문산읍 선유리 돈유울(KAC‘HAL-LI)에 소재한 미 해병1사단 기지의 영상이다. 이미 문서에서 RG 127, UD-UP 19, Box 32에 1953년 3월 지휘일지(Command Diary report, 1953. 03)에서 해병 1사단과 1공병대대가 선유리 돈유울에 주둔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본 영상은 유엔군임시사령부와 인접했으며 펠햄 기지 초기 모습을 담고 있다. 촬영한 부대는 알 수 없지만 촬영자 커슬링이다. 전체적으로 영상은 안정적이며 구도와 장면 구성이 좋은 편이다. 촬영 카메라는 아이모 35mm인데같은 시기에 유행하던 기종이다. 영상은 개성 내봉장에서 개최되는 정전회담 내용을 함께 담고 있다.

5분42초

Kirsling

문산읍 선유리|개성

F1 RG 111-ADC-9186 F2 1951. 09. 20 F3 문산읍 선유리, 개성 F4 해당없음 F5 Kirsling F6 무성 F7 5분42초

숏 리스트 # KG-5롤 슬레이트 09초 : 헬기에 조종사가 탑승하고 있다. 해병이라는 글자가 선명하다. 해병 기지가 보인다. (5분09초) 임진강과 그 주변 기지, 마을, 도로 등의 풍경이 보이면 문산가도 주변 미군기지들이 보인다.

https://www.youtube.com/embed/5sRQV9UdRNc

/r2-dmz판문점/s2-dmzmdr/108.-first-mar-div-korea/

109226통신중대

51-24-CA

이 영상은 앞의 ADC-9199와 연결되는 영상이다. 1951년 9월 임진강 일대에 주둔하고 있는 1영연방사단 예하 부대들의 기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영연방사단에는 영국군 27독립여단을 비롯해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인도군 등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기지는 적성면 설마리와 감악산 일대와 임진강 상류 지역에 포진했다. 영상은 영국군과 캐나다, 인도 의료지원부대 주둔지를 중심으로 보여주고 있다.

9분40초

Shincleton

임진강

F1 RG 111-ADC-9198 F2 9/21/1951 F3 임진강 F4 226통신중대 F5 Shincleton F6 무성 F7 9분40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14초 : 주둔지에 차량들이 있다. 수리영선 구역에서 차량들을 수리하고 있다. # 4롤, 슬레이트 3분21초 : 캐나다군들이 지프차 주변에 있다. (5분43초) 주둔지에서 포를 쏘고 있다. 임진강 인근 참호에 캐나다군들이 모여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Pvmfcxh8aTE

/r2-dmz판문점/s2-dmzmdr/109.-51-24-ca/

111226통신중대

ROK ARMY

이 영상은 1951년 9월 27·28일 양일간 한국근무단 대원들이 임진강 일대에서 홍수로 유실된 다리를 건설하는데 동원되었다. 유실된 다리는 기러기(Honker) 다리이며 여러 차례 홍수로 인해 파괴되고 말았다. 근무단 병사들이 직접 돌을 이용해 복구하는 장면이 이채롭다. 영상은 극동사령부 예하 226통신중대 베리스가 촬영한 것이다. 226통신중대는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들의 활동 등을 촬영했다.

6분48초

PEREZ

임진강|기러기 다리

F1 RG 111-ADC-9236 F2 1951.9.27.-28 F3 임진강, 기러기 다리 F4 226통신중대 F5 PEREZ F6 무성 F7 6분48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1초 : 한국근무단원들이 임진강변에 모여 있다. 한국군 1사단과 미군이 임진강을 바라 보고 있다. # 2롤 슬레이트 1분07초 : 한국근무단원들이 줄지어 임진강에서 공사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강에 돌 을 쌓고 있다. # 3롤 슬레이트 2분07초 : 한국근무단과 1사단 병사들이 무너진 임진강 뚝에 물길을 막고자 돌을 나 르고 있다. # 4롤 슬레이트 3분06초 : 수많은 사람들이 돌을 운반하고 있다. (3분44초 ) 임진나루와 그 주변 풍경 이 보인다. # 1롤 슬레이트 4분13초 : 크레디트 1951년 9월 27일 GHQ, 노이만(E. J. Neumann) 병사들이 보를 지나고 강을 건너고 있다. # 2롤 슬레이트 5분19초 ; 병사들이 박격포를 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sLkiD7ZicvQ

/r2-dmz판문점/s2-dmzmdr/111.-rok-army/

115해당없음

해당없음(캐나다군 훈련)

이 영상은 1951년 10월 18일 임진강 일대에 주둔한 캐나다군의 훈련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문산 민간인들이 캐나다군의 훈련하는 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주민들의 표정과 모습이 이채롭다.

9분42초

해당없음

문산

F1 RG 111-ADC-10322 F2 1951.10.18 F3 문산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9분42초

숏 리스트 # 17초 : 문산 지역 마을과 캐나다군이 군사 연습하는 장면이 나온다. 박주카포를 쏘는 장면, (56초) 그 장면을 지켜보는 파주 문산 주민들의 모습과 아이들이 나온다. # 추가로 캐나다 군이 한국을 위해(More canadian troops for korea!), 1분42초 : 캐나다군의 징집 과 출발하는 장면이 담겨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PHq_t4zOxpQ

/r2-dmz판문점/s2-dmzmdr/115.-해당없음캐나다군-훈련/

116304통신운영대대

Operation Freedom Gate

이 영상은 1952년 10월 14일 304통신운영대대에서 자유의 다리(임진철교, 문산읍 마정리-장단면 노상리)를 복수하는 것을 담고 있다. 이 공사는 2건설공병단 84건설공병대대가 직접 나섰는데 기존 임진강 철교의 보수공사와 문산읍 마정리 ‘독개다리’와 연결하는 다리 공사를 맡아 진행된 것이다.

10분58초

해당없음

임진강|자유의 다리 (임진강 철교)

F1 RG 111-LC-30783 F2 1952.10.14.-16 F3 임진강, 자유의 다리(임진강 철교) F4 304통신운영대대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10분58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02초 : 자유의 다리 아래에서 교각 세우는 작업을 하고 있는 사람들, 크레인으로 교 각을 운반하고 있다. # 2롤, 슬레이트 1분05초 : 교각이 세워지고 있다. 교각 작업은 한국 민간인들이 직접 하고 있다. # 3롤, 슬레이트 2분18초 : 자유의 다리가 보인다. 교각 작업이 계속 이어진다. # 4롤 슬레이트 3분19초 : 자유의 다리 옆에서 새로운 교각 작업이 이어진다. 보트를 이용해 교각 빔 을 이동하고 있다. 이미 폭격으로 파괴된 자유의 다리가 있다. # 5롤 슬레이트 4분22초 : 여러 고무보트를 이용해 빔이 옮겨지고 있다. 크레인으로 이용해 빔이 상부 로 옮겨진다. # 7롤 슬레이트 6분39초 : 다른 빔들이 크레인으로 다시 상부로 옮겨진다. 주변에 파괴된 자유의 다리 다른 교각이 보인다. # 8롤 슬레이트 7분43초 : 계속 교각 작업이 이어진다. # 9롤 슬레이트 8분46초 : 미군 기술자가 크레인 위에서 감독하고 있다. # 10롤 슬레이트 9분53초 : 크레인이 큰 교각의 빔을 세우고 있다. 주변에 파괴된 기존 다리를 비추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_txn0dDdwxU

/r2-dmz판문점/s2-dmzmdr/116.-operation-freedom-gate/

117101통신대대

FLOOD, Bridge

이 영상은 리비교(Libby Bridge)와 임진강 기러기(Honker) 다리에서 홍수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1953년 7월 7일 리비교가 홍수에도 붕괴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7월 8일 기러기 다리가 홍수로 인해 유실되었지만 다시 공사를 재개하고 있다.

7분52초

LOVIAS

리비교

F1 RG 111-LC-33633 F2 1953.7.7, 8 F3 리비교 F4 1010통신대대 F5 LOVIAS F6 무성 F7 7분52초

숏 리스트 # 2분31초 : 리비교(Libby Bridge)이며 강물이 다리를 위협하고 있다. 수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 2롤 슬레이트 3분25초 : 1953년 7월 7일 101통신대대, 제목 다리(Bridge), 촬영자 로빈스(Lovins) 임진강 일대 모습, 강물의 수위가 높아져 다리를 파괴했다. # 4롤 슬레이트 4분32초 : 1953년 7월 7일 크레인 보트를 이동시키고 있다. 물살이 거센 가운데 가교가 건설되고 있다. # 7롤 슬레이트 6분46초 : 1953년 7월 8일 미군 병사들이 가교 공사에 참여하고 있다. 보트가 조립되 고 있다. 임진강 가교가 다시 재건되고 있다. 완성된 다리에 차량이 통행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dZOl0FXKmVw

/r2-dmz판문점/s2-dmzmdr/117.-flood-bridge/

118304통신운영대대

55-6 Prisoner Release

이 영상은 LC-33798과 유사하다. 이 장면은 자유의 마을에서 딘 소장이 북한인민군에게 포획되고 석방되기까지 인터뷰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은 유성이나 불량이다.

6분43초

Whitfield

대성동 자유의 마을

F1 RG 111-LC-33798 F2 1955.9.16 F3 대성동 F4 304통신운영대대 F5 Whitfield F6 무성 F7 6분43초

숏 리스트 # 00:01~6분43초 : 딘 소장이 마이크에 대고 포로가 된 경위와 이동, 석방까지 상세하게 구술하고 있 다. 그는 말끔한 양복 차림이며 뒤에 다른 미군 장교가 앉아 있다. 가끔 기자들의 질문을 받기도 한다.

https://www.youtube.com/embed/JHDsIjaxBGQ

/r2-dmz판문점/s2-dmzmdr/118.-55-6-prisoner-release/

119304통신운영대대

해당없음(판문점 조인장)

이 영상은 1953년 7월 27일 북한 소재 판문점 조인장(지금의 평화박물관) 주변 모습과 같은 오후 1시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에서 유엔군 관계자가 사전에 조인하고 기자회견 장면이 담겨 있다. 보통 판문점 조인장 영상이 유엔군임시사령부에서 유엔군 관계자가 사전 조인하는 장면을 동일하게 편집되어 방송 언론에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영상은 판문점과 선유리 유엔임시사령부 조인과 기자회견이 다른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목에 등장하는 운크라 영상부대(UNKRA Film Unit)는 1950년 12월 1일 유엔의 결의에 따라 유엔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UNKRA) 소속이며 주로 한국에서 구호활동 등을 촬영해 유엔홍보부 등에 제공했다. 304통신운영대대는 용산기지에본부를 둔 미 8군 사령부 지휘 아래 활동한 유명한 부대이며 전쟁포로 교환 작전과 전후 1970년대까지 활동했다.

8분39초

해당없음

판문점|선유리

F1 RG 111-LC-34222 F2 1953.7.7.-8 F3 판문점, 선유리 F4 304통신운영대대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8분39초

숏 리스트 # 02초 : 판문점 조인장에서 유엔군과 북한인민군이 정전협정에 조인하고 있다. (15초) 조인장에서 나 오는 유엔군 관계자들과 기자들 모습. 조인장을 떠나는 북한인민군 관계자들, 조인장으로 다시 들어가 는 유엔군 관계자 모습. (3분11초) 조인장 주변 풍경들. 언론기자들과 경비병들 모습. (4분10초) 조인장 주변에 중국과 북한 관계자들 모습 (5분01초) 조인장 부근 각국 언론사 기자들과 각 군에서 나온 지프 차. 조인장 안의 내외신 기자들 (7분41초) 정전협정문 2권의 지도, 정전협정 제1권 등이 책상 위에 놓 여 있다.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에서 유엔군이 별도 조인식을 갖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CBziEDB1Id0

/r2-dmz판문점/s2-dmzmdr/119.-해당없음판문점-조인장/

120304통신운영대대

해당없음(정전협정 조인)

이 영상은 앞의 LC-34222와 연결되는 영상이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조인식 장면이다. 304통신운영대대는 용산기지에 본부를 둔 미 8군 사령부 지휘 아래 활동한 유명한 부대이며 전쟁포로교환작전과 전후 1970년대까지 활동했다.

7분55초

해당없음

판문점

F1 RG 111-LC-34223 F2 1953. 07. 27 F3 판문점 F4 304통신운영대대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7분55초

숏 리스트 # 11초 :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에서 유엔군이 조인식을 진행하고 있다. 마크 클라크 장군이 정전협 정에 사인하고 있다. # 3분45초 : 장면이 바뀌어서, 판문점 조인장에서 북한과 중국인민군이 앉아 있다. 북한인민군과 유엔 군에서 각각 조인식이 진행되고 있다. 중장 월리엄 해리슨 주니어(William K Harrison Jr, 극동사령부 참모장&부사령관)이 정전협정문에 사인하고 있다. 조인식을 마치고 자리를 떠나는 유엔군 관계자들이 보인다.

https://www.youtube.com/embed/wBcdB2is4UA

/r2-dmz판문점/s2-dmzmdr/120.-해당없음정전협정-조인/

12161육군사진중대

닉슨의 한국군 1사단 OP 방문

이 영상은 1953년 11월 14일부터 문산읍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펠햄기지와 한국군 1사단 초소 일대에서 훗날 미국 부통령 닉슨이 방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전협정 체결 이후 약 4개월 지난 뒤 펠햄 기지와 DMZ 등을 볼 수 있다. 특히 닉슨은 1953년 1월부터 1961년 1월까지 36대 미국 부통령을지냈으며 1969년 1월 37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 영상은 닉슨이 부통령으로 선출된 이후 첫 한국 방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5분43초

브라이트(Bright)

문산 선유리

F1 RG 111-LC-34431 F2 1953.11.13-15 F3 문산 선유리 F4 61육군사진중대 F5 브라이트(Bright) F6 무성 F7 5분43초

숏 리스트 # 03초 : 미8군사령관 맥스웰 테일러(Taylor, Maxwell D), 극동사령부 사령관 존 에드윈 헐(Hull, John Edwin) 장군과 부통령 리처드 닉슨(Nixon, Richard, 훗날 37대 미국대통령)이 한국군 1사단 12 연대 6중대 2소대 OP를 방문하고 있다. 벙커 안과 밖이 보인다. # 8롤 슬레이트 1분09초 : 1롤, 1953년 11월 15일 문산리, 닉슨 문산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펠헴기지에 닉슨이 헬기를 타고 착륙했다. 닉슨은 차량을 이용해 기지 내부에 도착했다. 주한미대사 아서 딘(Dean, Arthur H, 정전협상 참여), 국무부 차관보 쥴리어스 레이 시(Lacey, Julius K, 1953년 10월 26일 제네바에서 열린 한국정치회담 미국 수석대표) 등이 선유리 유 엔군임시사령부에서 닉슨 부통령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7롤 슬레이트 2분23초 : 11월13일 1사단 OP에 도착한 닉슨이 한국군과 함께 DMZ일대를 보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2c3RkAnZ8pw

/r2-dmz판문점/s2-dmzmdr/121.-닉슨의-한국군-1사단-op-방문/

1221st MAR DIV Photo sec

anti-red prisoner's leave indian custody

이 영상은 1954년 1월 20일 해병1사단 통신부대에서 판문점으로 향하는 미송환 중국인민지원군 포로들, 미송환 북한인민군 포로들이 석방되는 장면이다. 전체 약 14,000명 중국인민지원군 포로들 가운데제주 모슬포에 수용되었다가 인천 부평제10포로수용소에서 잠시 휴식한 뒤 자유의 다리를 거쳐 판문점으로 이동했다. 이들은 당일 인천항에서 대만 지룽항으로 출항했다. 일부 포로들은 비행기를 이용해 대만으로 이동했다. 또한 1953년 6월 18일 이승만 지시에 탈출하지 못한 북한인민군 포로들이 판문점에서 석방되어 포항 제2육군신병훈련소로 이동해 군사 및 재교육 등을 받았다.

9분28초

Whitfield

판문점|자유의 다리(임진강 철교)

F1 RG 111-LC-34881 F2 1954.1.20 F3 판문점, 자유의 다리(임진강 철교) F4 1st MAR DIV Photo sec F5 Whitfield F6 무성 F7 9분28초

숏 리스트 # 37초 : 중국인민지원군 중 대만으로 가는 포로들이 다리를 건너고 있다. # 1분12초 슬레이트 : 가교인 자유의 다리를 건너는 중국인민지원군 포로들이 트럭을 타고 판문점으로 이동하고 있다. # 2분19초 : 포로들이 트럭을 타고 이동하고 있다. 중화공화국 깃발을 들고 있다. 임진강 나루와 연결 된 # 3분29초 : 포로들을 태운 트럭이 가교 자유의 다리를 건너고 있다. # 5분07초 : 문산역으로 가는 열차가 달리고 있다. 열차에는 미송환 북한인민군포로들이 태극기를 흔 들고 있다. (7분12초) ‘자유’라는 이름의 구급차, “한국인은 철길을 따라 앞으로 가고 중국인은 왼편으 로 돌라 길을 따라 가시오”라는 표지판이 나온다. # 7분40초 : 1월 20일 태극기를 앞에 매달고 달리는 기차와 태극기를 흔들고 있는 미송환포로들이 기 차에서 내려 이동하고 있다. # 8분22초 : 기차는 기관차 앞에 태극기를 매달고 달리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CgWaNuPUbGY

/r2-dmz판문점/s2-dmzmdr/122.-anti-red-prisoners-leave-indian-custody/

1232보병사단

SPX 165-1

이 영상은 두 파트로 나눠지는데 2보병사단 기갑부대의 임무와 1954년 2월 10일 의정부 내 기지 활동 등이다. 첫 장면은 기갑부대가 평지와 도로 등지를 이동하고, 자유의 다리를 지난 장면이 포함되었다.

10분

Helton

2보병사단

F1 RG 111-LC-34992 F2 1954.2.3-5 F3 2보병사단 F4 2보병사단 F5 Helton F6 무성 F7 10분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lbm8mo1UUvA

/r2-dmz판문점/s2-dmzmdr/123.-spx-165-1/

12451통신중대

SPX165-11, COMM-CENTER

잭슨 기지 내 1군단 51통신대대 본부 건물과 한 병사가 짚차에서 짐을 내리는 장면, 기지 내의 건물 모습, 기지 정문에 보초와 잭슨기지 표지판, 헌병이 교통정리하는 장면, 한국경찰의 보초서는 장면, 잭슨 기지의 작전실과 비행기 정비하는 장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없음

Lou cohen

JACKSON 기지

F1 RG 111-LC-34993 F2 1954.2.10 F3 JACKSON 기지 F4 51통신중대 F5 Lou cohen F6 무성 F7 해당없음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MYif4NA35lY

/r2-dmz판문점/s2-dmzmdr/124.-spx165-11-comm-center/

1254통신대대|304통신운영대대

PROJECT NO. 54-110 AFAK

이 영상은 1954년 3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파주 천현면과 법원읍 등지에 병원과학교 건설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1954년 금촌민사병원 건설 직후 관계자가 나와 미군에게 건축에 감사 인사하는 장면이 매우 인상적이다. 천현면 천현국민학교 건축에 사용될 기와장을 옮기는 학생들과 공사 장면이 이어진다. 또한 법원리에 소재하는 한 학교의 건축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주민들이 먼저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학교를 재건하는 의미 있는 영상이라고 하겠다. 훗날 1963년 추가로 학교와 병원이 증축되기도 했다.

9분8초

D. WILSON

금촌민사병원|천현면천현리|법원리

F1 RG 111-LC-35291 F2 1954.3.12 F3 금촌민사병원, 천현면천현리, 법원리 F4 4통신대대, 304통신운영대대 F5 D. WILSON F6 유성/무성 F7 9분8초

숏 리스트 # 슬레이트 03초 : 미 10군단 장교가 연설하고 있다. 주변에 학생과 주민들이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미군 인터뷰 중에 한 주민이 허리를 굽혀 인사한다. (1분42초) “이 병원은 미국사람들로부터 선물로 받 은 훌륭한 병원입니다. 나는 미국 4통신중대 모리스 중령한테 그의 장병들이 훌륭한 건설에 감사를 드 리는 바입니다. 또 미국 국민들 그리고 10군단 민사처장에게 심심한 감사를 드리는 바입니다. 한국인의 전체를 대신해서 심심한 사의를 표하는 바입니다.”라고 한국인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1롤 슬레이트 3분29초 : 1954년 3월 12일, 제목 AFAK Friendship School, 촬영부대 304통신운영 대대, 장소 법원리 “Friendship School(천현국민학교) 이 프로젝트는 48 ‘모든 미육군대대’ 1343전투공병대대, 512덤프트 럭공병중대. 프로젝트 I-M-1 주한미육군사원조” 라는 표지판과 “고맙습니다. 우리 천현국민학교 건축을 도와주시는 미 제48야포대대 천현면 면민일동”라는 대자보가 보인다. 건축된 학교 전경이 보인다. 여전 히 학교 건물이 건축되고 있다. (4분47초) 학교 학생들이 트럭에서 기와장을 내리고 있다. # 3롤 슬레이트 5분41초 : 미군들과 학생, 교장 등이 건축되고 있는 학교 건물을 둘러보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UYS3r1uk9-s

/r2-dmz판문점/s2-dmzmdr/125.-project-no.-54-110-afak/

126304통신운영대대

Hosp train

이 영상은 1953년 1월부터 2월 사이 파주 비무장지대에서 열차로 부상병을 수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주 어느 부대이지만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전체 영상의 구성에서 야전 기지, 병원 열차를 통해 철교, 비행기 수송까지 일종의 홍보영상이다.

9분59초

CARONER

파주 의료부대

F1 RG 111-LC-35296 F2 1953.1.29-2.5 F3 파주 의료부대 F4 304통신운영대대 F5 CARONER F6 무성 F7 9분59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6초 : 32연대 1대대 레드(적십자) 라디오국 간판. 장갑차가 도로를 질주하고 있다. 장 갑차가 기지 안으로 들어와 부상자를 내리고 있다. # 2롤 슬레이트 1분09초 : 부상자를 안으로 이송한다. # 4롤 슬레이트 2분48초 : 기지 내부가 보인다. 지프차에서 부상자가 내려진다. (4분09초) 32의룡중대 간판이 보인다. 이어서 7의료대대 1소대 간판과 기지가 보인다. 부상자가 의료열차를 이용해 다시 이송 되고 있다. # 8롤 슬레이트 6분54초 : 1953년 2월 4일 의료열차가 철교를 지나고 있다. 이어서 또 다른 철교를 지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EPmXmjGba0c

/r2-dmz판문점/s2-dmzmdr/126.-hosp-train/

1272사단

Thailand Bn Seitz dorf-afak

밴드가 등장하고 2사단장이 사열 받는 장면, 민간인들이 모여 있는 장면, 아이들이 2사단장에게 꽃다발 전달하는 장면

11분14초

Helton

MANCHU Field chipo-ri

F1 RG 111-LC-36316 F2 1954.4.7 / 1954.4.5 F3 MANCHU Field chipo-ri F4 2사단 F5 Helton F6 무성 F7 11분14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uZlXPu0reaE

/r2-dmz판문점/s2-dmzmdr/127.-thailand-bn-seitz-dorf-afak/

129304통신운영대대

Brucker

이 영상은 미 육군장관 윌버 브러커 등이 파주 관할 군내면 판문점 내 한국군 1사단 지역과 24사단 주둔지를 방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4사단 주둔지는 지금의 문산읍 선유리 펠햄기지이며 한국군 1사단은 군내면 조산리 인근 초소이다. 펠햄 기지가 미 해병1사단에서 24사단으로 교체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초기 파주지역 DMZ 초소 상태나 현황을 알 수 있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10분23초

Whitfleld

파주 군내면|문산읍 선유리

F1 RG 111-LC-38824 F2 1955.12.08 F3 파주 군내면, 문산읍 선유리 F4 304통신운영대대 F5 Whitfleld F6 무성 F7 10분23초

숏 리스트 # 6롤 슬레이트 1분16초 : 24사단 주둔지에 미 육군장관 윌버 브러커(Wilber Marion Brucker), 밀턴 (Milton), 미8군사령관 라이먼 루이 렘니처(Lyman Louis Lemnitzer), 10군단장 이삭 데이비스 화이트 (I. D. White) 장군 등이 헬기에서 내려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어서 24사단 주둔지와 가까운 파주 DMZ 부근 전진초소를 방문한다. # 7롤 슬레이트 2분13초 : 브러커가 망원경으로 북한 지역을 보고 있다. 북한 지역 일대가 한 눈에 보 인다. # 8롤 슬레이트 3분42초 : 일행들은 미군 기지에서 다른 병사의 브리핑을 듣고 있다. 자유의 종을 치 고 있다. 이 기지는 리비티 벨(Camp Liberty Bell, 자유의 종) 기지이다. # 9롤 슬레이트 4분34초 : 일행들이 단상에 앉아 있다. 1사단 기지에서 브리핑을 듣고 있다. 이어서 사 격시범을 관람하고 있다. # 10롤 슬레이트 5분42초 : 한국군 1사단 주둔지에서 사격시범이 이어지고 있다. # 11롤 슬레이트 6분55초 : 한국군 1사단 주둔지에서 사격시범이 이어지고 있다. # 12롤 슬레이트 8분04초 : 1사단장이 일행들에게 감사를 증정하고 있다. (9분02초) 다시 미군 기지에 도착한 브러커가 기지 앞으로 들어간다. # 13롤 슬레이트 9분14초: 미군 7사단 주둔지에서 미군들과 기지 곳곳을 시찰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i-73xuwQ-z0

/r2-dmz판문점/s2-dmzmdr/129.-brucker/

130304통신운영대대

Prisoner Release

이 영상은 1955년 9월 13일 북한군에 포획된 한국군 3명을 석방하는 장면이다. 영상에 나오는 한국인3명의 ‘어민(Fishermen)’은 1953년 9월 15일 언론에서 한국군이라고 알려졌다(『동아일보』, 1955. 9.15). 신문에서 9월 13일 북한은 “간첩으로 포로된 한국군 3명을 석방하겠다”고 했다. 유엔군과 북한합동군사휴전위원단 비서회의에서 북한은 17일 판문점에서 한국군 3명을 유엔측에 인도하겠다고 했다. 이에 유엔군 측은 “한국군 3명이 무장간첩으로 북한에 파견되었다는 북한군측 비난을 부인했다”고한다. 북한 주장은 3명의 한국군이 7월 22일 간첩을 목적으로 다수의 북한어부들을 납치하기 위하여 2명의 무장간첩을 북한수역에 파견했다고 비난했다. 영상 설명에는 “141차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에서 3명의 어부가 북한에서 데려오고 있다.”라고 적고 있다. 아주 짧은 영상이지만 초기 판문점과 중립국감독위원회 주변을 보여주고 있다.

01:00 (총 10:05)

Whitfield

판문점

F1 RG 111-LC-38852 F2 1955.9.16 F3 판문점 F4 304통신운영대대 F5 Whitfield F6 무성 F7 10분05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9분01초 : 중립국감독위원회에서 3명의 한국인 어민들이 내려고 오고 있다. 3명은 미 군 차량을 이용해 판문점을 떠나고 있다. 초기 판문점 모습이 보인다. 선유리 펠햄 기지에 도착한 3명은 한국군과 미군들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hco8ihrbq2g

/r2-dmz판문점/s2-dmzmdr/130.-prisoner-release/

131해당없음

SPX 288

눈이 내리는 기지와 DMZ 인근을 순찰 도는 미군 병사들, 트럭에서 쌀을 내리는 장면 등이 이어진다.

6분39초

GRANT

DMZ

F1 RG 111-LC-39123 F2 1956.3.2-3 F3 DMZ F4 해당없음 F5 GRANT F6 무성 F7 6분39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2RhPkGJZ76c

/r2-dmz판문점/s2-dmzmdr/131.-spx-288/

132해당없음

SPX 288

미2사단 내부 기지 장교식당에서 배식을 받아 식사하고 있는 장면, 야외에서 식시를 세척하는 장면, 스틸사진가 카메라를 들고 있는 장면, 기지 전경과 총들고 달리는 미군병사들, DMZ에서 기관포에 조준장면, DMZ 순찰 장면 등이 이어진다.

11분1초

RISKIN

DMZ

F1 RG 111-LC-39125 F2 1956.3.8-9 F3 DMZ F4 해당없음 F5 RISKIN F6 무성 F7 11분1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_S_OYed_uMM

/r2-dmz판문점/s2-dmzmdr/132.-spx-288/

133해당없음

SPX 288

이 영상은 1956년 2월 8일 눈 덮힌 DMZ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6분39초

GRANT

DMZ

F1 RG 111-LC-39127 F2 1956.02.8 F3 DMZ F4 해당없음 F5 GRANT F6 무성 F7 6분39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rVbj5bgbjqw

/r2-dmz판문점/s2-dmzmdr/133.-spx-288/

134304통신운영대대

Truce Line Korea

이 영상은 1956년 3월 기점에서 판문점의 공동경비구역과 돌아오지 않는 다리, 비무장지대 내 표지판 등을 볼 수 있다. 공동경비구역 내 북한인민군 경비병이 자유롭게 순찰하는 장면과 미군 촬영 사병이 인민군 경비병을 촬영하는 장면이 매우 인상적이다. 전체 영상은 구성이나 흐름에서도 매우 우수한 편이다.

10분27초

GRANT

DMZ|판문점

F1 RG 111-LC-39128 F2 1956.3.6-10 F3 DMZ, 판문점 F4 304통신운영대대 F5 GRANT F6 무성 F7 10분27초

숏 리스트 # 슬레이트 3초 : 미군들이 배식을 받고 있다. # 슬레이트 1분13초 : 미군들이 행진하고 있다. # 40롤 슬레이트 5분47초 :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북한인민군 2명이 걸어가고 있다. 미군 촬영 병이 촬영하고 있다. “정지 모든 유엔 인원. 헌병 검문소”라는 표지판이 등장한다. 두 헌병이 서 있다. 차량이 검문소 앞에 멈추고 다른 두 헌병이 내린다. 헌병의 근무 교대가 이뤄진다. 스위스 중립국감독 위원회 차량이 돌아오지 않는 다리를 지나고 있다. # 41롤 슬레이트 6분58초 : 1956년 3월 10일 “군사분계선”이라는 표지판과 돌아오지 않는 다리가 보 인다. 두 헌병이 군사분계선 표지판과 돌아오지 않는 다리 등을 점검하고 있다. 스위스 중립국위원회 차량이 지나고 있다. 정지라는 표지판이 보인다. “휴전위원단공동보안지대” 표지판이 보인다. 공동경비 대 검문소 현판이 보인다. 스위스 및 스웨덴 기지 중립국감시위원회 현판이 보인다. # 21롤 슬레이트 8분07초 : 1956년 3월 6일 “위험 나비탄 출입금지”표지판이 보인다. “지뢰 위험”이라는 표지판이 보인다. 미군 근무자가 지뢰지대 일대를 점검하고 있다. “지뢰위험”표지판이 떨어진 것을 수리하고 있다. # 23롤 슬레이트 9분14초 : 미군기지에서 병사들이 훈련을 받고 있다. 이들은 DMZ정찰헌병중대이다.

https://www.youtube.com/embed/kix868kGKOs

/r2-dmz판문점/s2-dmzmdr/134.-truce-line-korea/

135 125통신중대

해당없음(DMZ)

이 영상은 1959년 125통신사진중대에서 파주 DMZ에서 촬영한 것으로 DMZ 일대 표지판과 각종 경고판 등을 담고 있는데 앞의 LC-44331와 유사하다. 하지만 영상에서 DMZ 근무 수칙과 보고 방법 등을 기술한 포스터 등을 보여주고 있다. DMZ 내 근무자가 민간행정, 경비, 정보 등 세 분야에서 활동해야했다. 특히 영상은 사진이나 문서에서 확인할 수 없는 개개인의 DMZ 활동 수칙 등이 상세히 언급된 것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125통신중대는 2차 세계대전부터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서 활약했다.

5분19초

NORENBFRG

판문점|DMZ

F1 RG 111-LC-39131 F2 1956.3.7-8 F3 판문점, DMZ F4 125통신중대 F5 NORENBFRG F6 무성 F7 5분19초

숏 리스트 # 13롤 슬레이트 4초 : 기지에서 청소하는 미군들. # 14롤 슬레이트 1분10초 : 기지 내 물품보관소에서 망원경, 무전기, 탄창 등을 지급받고 서류 작성하 는 장면 # 15롤 슬레이트 2분19초 : 동일한 장면의 반복 # 16롤 슬레이트 3분06초 : “당신은 적을 알고 있는가!”의 표어와 북한군의 복장, 계급장 등을 상세히 정리한 포스터가 벽에 붙어져 있다. # 17롤 슬레이트 4분04초 : DMZ정찰대 헌병들이 근무에 나가기 전 근무지 일대 지형, 초소 위치, 군 사분계선 표지판 등을 보여주는 모형 조감도를 보고 있다. # 19롤 슬레이트 6분22초 : DMZ정찰대 헌병 3명은 지휘관으로부터 근무수칙을 듣고 있다. 벽에 DMZ 책임이라는 근무 수칙 내용이 있다. 민간행정 : 경찰구역, 표시물 점검, 민사 경비 : 24시간 마다 보고, 30분마다 연락, 임계점, 임계시간, 4시간마다 순찰 정보 : 특별보고, 서면보고, 첩보 훈련, 정찰, 작전, 일광 관찰 “군사분계선” 한글과 중국어 표지판 # 20롤 슬레이트 7분33초 : 1956년 8월 3일 기지 내부가 보인다. 근무 중대원들이 모여서 점검하고 있다. 한 병사 북한쪽으로 감시활동을 벌이고 두 명의 병사가 산을 오르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2GuGToIQKvE

/r2-dmz판문점/s2-dmzmdr/135.-해당없음dmz/

136해당없음

Korean Armistice

이 영상은 합동감시반에서 비무장지대 일대를 조사하는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기 비무장지대의 모습과 철조망 그리고 군사분계선 등을 볼 수 있다

11분 15초

Norenberg

DMZ|MDL

F1 RG 111-LC-42903 F2 1959.7.8 F3 판문점 F4 DMZ, MDL F5 Norenberg F6 무성 F7 11분15초

숏 리스트 # 테이크 10 슬레이트 1분12초 : 미군 버스가 도착해 사람들이 내리고 있다. 합동감시반(Joint Observer Team)미군들은 DMZ 내에서 회의하고 이동하고 있다. 군사분계선에서 미군과 북한인민군이 만나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미군이 북한 측 군사분계선을 넘고 있다. (3분11초) 이들은 무릎 정도 높이의 두 줄로 처진 철조망을 넘고 있다. 이들은 한 줄로 걸어간다. # 12롤 슬레이트 3분27초 : 양측이 다시 모여 점검하고 있다. 북한군 경비병이 뭔가 이야기를 하고 있 다. 미군과 한국군 통역관이 뭔가를 이야기 하고 있다. # 13롤 슬레이트 4분34초 : 양측 의견 교환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L0tLxcV-Dr8

/r2-dmz판문점/s2-dmzmdr/136.-korean-armistice/

137125통신중대

KOREAN ARMISTICES

이 영상은 파주 군내면 조산리 일대 판문점과 역대 6명의 미국 대통령들이 방문한 ‘메이즈’(지금의 오울렛 초소)와 판문점 회담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메이즈 초기 모습이 담긴 영상은 향후 전시와 연계해 활용될 수 있다.

5분19초

Norenberg

판문점|메이즈

F1 RG 111-LC-42907 F2 1959.7.3, 16 F3 판문점, 메이즈 F4 125통신중대 F5 Norenberg F6 무성 F7 5분19초

숏 리스트 # 테이크 43 슬레이트 4초 : 1959년 7월 3일. 북한지역의 마을들이 보인다. # 테이크 21 1분06초 : 1959년 7월 16일. “관측소 메이즈 9기병연대 1정찰분대” 표지판. 관측소 메이 즈의 안내판과 관측소가 보인다. 헌병 두 명이 망원경으로 북한지역을 관측하고 있다. # 테이크 29 슬레이트 2분13초 : 판문점에서 군사정전위원회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북한군 대표자들이 판문점 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어서 유엔군 측 대표들이 회담장으로 들어가 고 있다. 판문점 회담장 전경.

https://www.youtube.com/embed/gSlhQcudUl0

/r2-dmz판문점/s2-dmzmdr/137.-korean-armistices/

13812통신중대 파견대

DMZ

이 영상은 1959년 12통신사진중대에서 파주 DMZ에서 촬영한 것으로 장단 인근 녹슨 기차를 모습과 북한 지역을 담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기관차와 객차는 여러 사진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10분10초

병장 도일(doyle)

DMZ|장단역 부근

F1 RG 111-LC-44330 F2 1959.9.06 F3 DMZ, 장단역 부근 F4 12통신중대 파견대 F5 Sgtdoyle F6 무성 F7 10분10초

숏 리스트 # 11롤 슬레이트 5초 : 북한지역의 마을이 보인다. DMZ 건너편 북한 마을이다. # 12롤 슬레이트 5분13초 : 1959년 9월 6일 녹슨 기차가 보인다. 다른 객차가 보인다. # 13롤 슬레이트 6분31초 : DMZ정찰대 지프차가 비포장도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다. # 5롤 슬레이트 7분46초 : 근무초소에서 근무 일지를 작성하고 있는 미군, 무전을 통해 근무보고하는 미군 # 3롤 슬레이트 8분58초 : 북쪽 방향으로 넓은 들이 보이고 군사분계선 단선 철조망이 보인다.

https://www.youtube.com/embed/4sPO5lo2Vc0

/r2-dmz판문점/s2-dmzmdr/138.-dmz/

13912통신중대 파견대

DMZ

이 영상은 1959년 12통신중대에서 파주 DMZ에서 촬영한 것으로 DMZ 일대 표지판과 각종 경고판 등을 담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DMZ, MDL, 각종 경고 표지판 등은 전시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9분54초

병장 도일(doyle)

DMZ

F1 RG 111-LC-44331 F2 1960.9.10 F3 DMZ F4 12통신중대 파견대 F5 Sgtdoyle F6 무성 F7 9분54초

숏 리스트 # 4롤 슬레이트 2초 : 관측소가 보인다. 북한지역 산이 보인다. 두 명의 군인이 망원경으로 북한지역 을 관측하고 있다. # 1롤 슬레이트 1분20초 : 1960년 9월 6일. “비무장지대 남쪽 한계선 출입금지”라는 영어, 한국어, 중 국어 표지판이 보인다. 순찰 지프차가 DMZ의 남방한계선 내에서 진흙 길을 넘어 순찰한다. # 1롤 슬레이트 2분30초 : 정지 표지판과 차단막 앞에 지프차가 선다. 철조망이 DMZ의 남쪽 경계에 따라 설치된 모습. # 7롤 슬레이트 3분38초 : “당신은 감시하라”. 북한군인 포스터. “모든 내용을 보고하시오. 인원, 활 동, 위치, 부대, 시간, 장비” 등 표지판을 클로즈업 # 6롤 슬레이트 4분53초 : 표지판 “지뢰 위험” # 8롤 슬레이트 6분08초 : 정찰군인들이 철조망 양옆 중간으로 순찰 중이다. 한 헌병이 망원경으로 북 한지역을 관찰한다. 철조망 상태를 점검한다. # 10롤 슬레이트 7분55초 : 1960년 8월 8일 0034번째의 군사분계선 표지판에서 두 정찰병이 무전 보고를 한다. # 9롤 슬레이트 8분35초 : 순찰 지프차가 서 있다. 두 정찰병이 군사분계선을 따라 순찰을 돌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Yg5O2CJBQoM

/r2-dmz판문점/s2-dmzmdr/139.-dmz/

141181통신중대

해당없음(Camp Young)

이 영상은 진동면 동파리 왕촌마을에 건설된 영 기지와 DMZ 정찰 활동 등을 담고 있다. 영 기지는 저어새 구역(동파리 일대)에서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었다. 영상에는 군사분계선 표지판 등을 볼 수 있다.

8분53초

McGibney|Sweatmaw

Camp Young|동파리 왕촌

F1 RG 111-LC-47481 F2 1963.9.13 F3 Camp Young, 동파리 왕촌 F4 181통신중대 F5 McGibney Sweatmaw F6 무성 F7 8분53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4초 : 차량이 차단막 안에 선다. 미군이 차단막을 올린다. “경고 당신은 비무장 지대 에 접근하고 있다. 통행금지” 표지판이 클로즈업 되고 있다. # 2롤 슬레이트 1분13초 : 차단막이 올라가자 지프차가 출발한다. 뒤 따르는 다른 차량들이 함께 이동 한다. # 3롤 슬레이트 2분20초 : 비포장도로를 따라 지프차가 올라가다가 선다. 다른 미군들이 하차한다. # 4롤 슬레이트 3분33초 : 미군들이 숲 속으로 행진하고 있다. “군사분계선”이라는 한글과 영어 표지 판이 보인다. # 5롤 슬레이트 4분10초 : “군사분계선”이라는 한글과 영어 표지판이 보인다. 그 사이로 미군들이 지 나가고 있다. 넓은 들판에 군사분계선 표지판과 단선의 철조망이 보인다. # 6롤 슬레이트 5분23초 : 순찰병들이 군사분계선 표지판 근처에서 앉아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소대 장이 망원경으로 주변을 관찰하고 있다. # 7롤 슬레이트 6분35초 : 주변 산과 초소, 군사분계선 앞에서 교신하는 미군들이 나온다. # 8롤 슬레이트 7분43초 : 군사분계선에서 다시 이동하는 미군 소대원들 모습이 이어진다. (8분15초) “206번째 군사분계선” 표지판이 보인다. (8분31초) “208번째 군사분계선” 표지판이 보인다.

https://www.youtube.com/embed/MWqhAUVcxPM

/r2-dmz판문점/s2-dmzmdr/141.-해당없음camp-young/

144SPDP

DCS-205-3B63

이 영상은 1954년 3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파주 금촌 파주여자상업학교와 금촌 민사병원 건설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영상에서 파주여상 교사는 이미 건축한 상태이다. 한 장면에는 운동장에서 학생들이 미군 관계자와 함께 배구하는 장면, 학교 전경 등으로 구성된 영상이다. 1954년 금촌민사병원 1차 완공 이후 추가로 병원이 증축되고 있다. 병원장 이 박사와 미군 담당 하옌이 공사 현황과 주변을 둘러보고 있다. 영상에는 두 사람 모두가 매우 만족한 표정이다. 특히 공사에는 지역 주민들이 직접 고용되어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9분58초

SP/ 5 WADE

파주여자상업고등학교|금촌민사병원

F1 RG 111-LC-47508 F2 1963. 12. 11 F3 파주여자상업고등학교, 금촌민사병원 F4 SPDP F5 SP/ 5 WADE F6 무성 F7 9분58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01초: “대한미군원조 파주여자상업고등학교 프로젝트 번호 63-310 지원사령부 중대본 부” 표지판. 학교 전경과 학생들이 배구하는 모습. 지프차가 학교 정문을 통과해 들어온다. 운동장에 학생들이 배구 경기 중이다. (1분05초) 학교장이 1기병사단 두 병사를 만나고 있다. 추가로 학교 공사 가 진행되고 있다. # 2롤 슬레이트 1분10초 : 학교장이 두 병사와 악수를 하고 있다. 3명은 학생들이 배구경기 장면을 보 고 있다. 기차가 지나고 있다. 두 병사가 학생들과 배구 경기에 참여하고 있다. # 3롤 슬레이트 2분15초 : 배구경기 장면. # 4롤 슬레이트 3분21초 : 공사가 한창이다. 미군들이 목재를 옮기고 있다. 학생과 교사가 작업하고 있다. # 5롤 슬레이트 4분29초 : “AFAK프로젝트 1963년도 대한군사원조 공사 금촌민사병원(Kumchon Prov Hospital)”이라는 표지판. 공사가 한창이다. 중렬 조지 하옌(George E. Hayen, 15의료대대)과 이경락(Kyung nak) 박사가 공사 장면을 보고 있다. 하옌은 프로젝트 전체 내용을 차트를 보고 설명하고 있다. “AFAK 1963년 프로젝트” 1. 내용 : 병원 병동건설 2. 할당 : AFAK 자재들 3. 지원 장교 : 15의료대대, 7트럭중대 4. 건설 시기 1963년 10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 6롤 슬레이트 5분33초 : 민간 건설업자들이 작업 중에 있다. 목공 작업. 주변에 아이들이 구경하고 있다. # 7롤 슬레이트 6분41초 : 하옌과 이 박사가 병원 건설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또 다른 한국인이 와서 공사 상황을 살펴본다. # 8롤 슬레이트 7분44초 : 병동 지붕공사 장면. 기와 작업 중이다. 다른 병원관계자가 공사 작업을 살 펴보고 있다. # 9롤 슬레이트 8분54초 : 목공 작업 장면.

https://www.youtube.com/embed/Ud1IKYSqFSE

/r2-dmz판문점/s2-dmzmdr/144.-dcs-205-3b63/

145SPDP

DCS-205-3B63

이 영상은 앞의 파주상업학교와 연결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 일환에서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 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8분20초

SP/ 5 웨이드(WADE)|토알 브라보(Toaal bravo)|병장 아브로제(Ambroje)

문산|금촌

F1 RG 111-LC-47511-1 F2 1963.12.11-15 F3 문산, 금촌 F4 SPDP F5 SP/ 5 웨이드(WADE), 토알 브라보(Toaal bravo), 병장 아브로제(Ambroje) F6 무성 F7 8분20초

숏 리스트 # 28롤 슬레이트 1분12초 : 학교 건물 앞에 학생들이 모여 32연대 1대대 미군들로부터 달력을 받 고 있다. # 29롤 슬레이트 2분15초 : 학생들이 받은 달력을 보고 있다. 부상을 당한 학생, 학교 전경이 보인 다. # 1롤 슬레이트 3분23초 : 공사 전경이 보인다. 벽돌들이 제작되어 놓여진다. 벽돌이 제작되고 있 다. # 2롤 슬레이트 4분37초 : 미군이 지원한 시멘트와 벽돌 제작. 학교 전경과 공사 중인 교사가 보인 다. 미군들과 학교장이 공사장으로 향하고 있다. 공사 장면을 보고 있다. # 4롤 슬레이트 7분09초 : 학교에 있는 양계장 모습. 1기병사단 13통신대대 미군들이 양계장에서 닭 모이를 주고 있다. # 5롤(두 번째 롤) 슬레이트 01초 : 미군들이 돼지우리에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kgURLJIWx6M

/r2-dmz판문점/s2-dmzmdr/145.-dcs-205-3b63/

146SPDP

DCS-205-3B63

이 영상은 앞의 파주상업학교와 연결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 일환에서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 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8분20초

SP/ 5 웨이드(WADE)|토알 브라보(Toaal bravo)|병장 아브로제(Ambroje)

문산|금촌

F1 RG 111-LC-47511-2 F2 1963.12.11-15 F3 문산, 금촌 F4 SPDP F5 SP/ 5 웨이드(WADE), 토알 브라보(Toaal bravo), 병장 아브로제(Ambroje) F6 무성 F7 8분20초

숏 리스트 # 28롤 슬레이트 1분12초 : 학교 건물 앞에 학생들이 모여 32연대 1대대 미군들로부터 달력을 받 고 있다. # 29롤 슬레이트 2분15초 : 학생들이 받은 달력을 보고 있다. 부상을 당한 학생, 학교 전경이 보인 다. # 1롤 슬레이트 3분23초 : 공사 전경이 보인다. 벽돌들이 제작되어 놓여진다. 벽돌이 제작되고 있 다. # 2롤 슬레이트 4분37초 : 미군이 지원한 시멘트와 벽돌 제작. 학교 전경과 공사 중인 교사가 보인 다. 미군들과 학교장이 공사장으로 향하고 있다. 공사 장면을 보고 있다. # 4롤 슬레이트 7분09초 : 학교에 있는 양계장 모습. 1기병사단 13통신대대 미군들이 양계장에서 닭 모이를 주고 있다. # 5롤(두 번째 롤) 슬레이트 01초 : 미군들이 돼지우리에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U6heRFj7nfY

/r2-dmz판문점/s2-dmzmdr/146.-dcs-205-3b63/

147SPDP

DCS-205-3B63

이 영상은 앞의 파주상업학교와 연결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 일환에서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 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8분20초

SP/ 5 웨이드(WADE)|토알 브라보(Toaal bravo)|병장 아브로제(Ambroje)

문산|금촌

F1 RG 111-LC-47511-3 F2 1963.12.11-15 F3 문산, 금촌 F4 SPDP F5 SP/ 5 웨이드(WADE), 토알 브라보(Toaal bravo), 병장 아브로제(Ambroje) F6 무성 F7 8분20초

숏 리스트 # 28롤 슬레이트 1분12초 : 학교 건물 앞에 학생들이 모여 32연대 1대대 미군들로부터 달력을 받 고 있다. # 29롤 슬레이트 2분15초 : 학생들이 받은 달력을 보고 있다. 부상을 당한 학생, 학교 전경이 보인 다. # 1롤 슬레이트 3분23초 : 공사 전경이 보인다. 벽돌들이 제작되어 놓여진다. 벽돌이 제작되고 있 다. # 2롤 슬레이트 4분37초 : 미군이 지원한 시멘트와 벽돌 제작. 학교 전경과 공사 중인 교사가 보인 다. 미군들과 학교장이 공사장으로 향하고 있다. 공사 장면을 보고 있다. # 4롤 슬레이트 7분09초 : 학교에 있는 양계장 모습. 1기병사단 13통신대대 미군들이 양계장에서 닭 모이를 주고 있다. # 5롤(두 번째 롤) 슬레이트 01초 : 미군들이 돼지우리에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z9ckwuXjxv0

/r2-dmz판문점/s2-dmzmdr/147.-dcs-205-3b63/

148SPDP

DCS-205-3B63

이 영상은 앞의 영상 LC-47511와 이어지며 문산농업학교뿐만 아니라 파주 내 상광보린원과 박애원 건축, 고아원들 모습이 담겨 있다. 앞의 영상과 동일하게 미군대한원조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건축 사업이다. 파주에는 고아원과 육아원 등 15개 이상 소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 한국전쟁 시기 설립되었다고 한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7분37초

병장 암브로제(Ambroje)

문산

F1 RG 111-LC-47512 F2 1963.12.13 F3 문산 F4 SPDP F5 Ambroje F6 무성 F7 7분37초

숏 리스트 # 6롤 슬레이트 01초 : 배추밭이다. 교장과 학생, 미군들이 배추밭을 보고 있다. 그 옆에 공사가 한창 이다. 대패질 중이다. (1분20초) 학교전경이다. # 8롤 슬레이트 2분 : “재단법인 국민후생회 상광보린원(고아원)” 간판. 상광보린원 전경이 보인다. # 9롤 슬레이트 2분58초 : 미군들과 민간인들이 목조구조물을 옮기고 있다. 지붕 구조물 작업. # 10롤 슬레이트 4분08초 : 1963년 11월 13일. 지붕공사 장면. (4분50초) 마을 주변 전경이 보인다. # 11롤 슬레이트 5분17초 : 지붕공사 장면. (6분01초) 미군과 아이들이 즐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 12롤 슬레이트 6분26초 : “박애원(博愛園)” 현판과 기와지붕 입구. “대한미군원조 박애고아원(PAK AI ORPHANAGE) 프로젝트 번호 62-659(0) 지원 미 제1기갑사단 제8공병대대 후원”이라는 표지판. 박애원 전경과 아이들이 보인다. 2층 건물이다. 말을 탄 어른이 아이를 안고 있는 동상

https://www.youtube.com/embed/V74kuJxA6qg

/r2-dmz판문점/s2-dmzmdr/148.-dcs-205-3b63/

149181통신중대

MP

이 영상은 1965년 11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남쪽 지역에 ‘자유의 집’ 건축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남북 사이 충돌 위기 상태에서 새롭게 등장한 ‘자유의 집’은 북한이 규정을 위반해 건축물을 건축하자 이에 대응해서 세워진 것이다. 영상 앞부분은 베트남에서 미군의 학교 건설 장면이 있다.

04:56-07:13 (07:45)

HALL

판문점|공동경비구역|장유의 집

F1 RG 111-LC-49751 F2 1965.11.30 F3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장유의 집 F4 181통신중대 F5 HALL F6 무성 F7 7분45초

숏 리스트 # 테이크 1, 슬레이트 4분56초 : 판문점 자유의 집 전경. 자유의 집 현판이 보인다. 북한인민군 2명이 주변에 있다. 자유의 집 위에 군인이 경계 중이다. # 테이크 2, 슬레이트 6분04초 : 자유의 집 부근에 북한인민군과 미군 등이 서 있다. 회담장 주변에서 각국 군인들이 있다. 중립국감독위원회 관계자들, 판문각이 보인다. 자유의 집 아래 군인들이 모여 있 다. 자유의 집 앞에 북한인민군들이 모여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WI8ku_jfE88

/r2-dmz판문점/s2-dmzmdr/149.-mp/

150181통신중대

MAC MEETING PAN MUNJOM

미군, 북한군, 유엔군 경비병들과 함께 군사정전위원회 회의하는 장면들, 방문자가 주변을 둘러 보고 있다. Harry Sands(USAF) 장군은 회의 장소를 떠나 차를 타고 출발한다. 북한 경비병들이 행진하고 있다. 한국 언론인들은 북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6분25초

FOULKES

판문점

F1 RG 111-LC-49903 F2 1965.12.21 F3 판문점 F4 181통신중대 F5 FOULKES F6 무성 F7 6분25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xQmQS4enOrU

/r2-dmz판문점/s2-dmzmdr/150.-mac-meeting-pan-munjom/

151SPDP Team A

D.M.Z Activities

이 영상은 1967년 9월 30일, 10월 3일 두 차례 나눠 파주 DMZ부터 철책 공사, 임진강 철교에 이르는 다양한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비무장지대가 철책으로 바뀌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 외에도 판문점 및 공동경비구역(JSA), 전진초소 등을 공중 촬영한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영상은 일반에 공개되는 것은 처음이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22분32초

Breedlove

판문점|공동경비구역(JSA)|자유의 다리(임진강철교)

F1 RG 111-LC-52227 F2 1967.9.30-10.3 F3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자유의 다리(임진강철교) F4 SPDP Team A F5 Breedlove F6 무성 F7 22분32초

숏 리스트 # 3롤 슬레이터 07초 : 1967년 9월 30일 테이크 1-9A, 장교 대위 페미미(P. Pemmy) 군사분계선 표지판과 지도 옆에서 설명하고 있는 장교. 이 장교는 중령 클로닝(Cloninger)이며 파주 DMZ 일대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유성인데 음성이 소실되었다. # 4롤 슬레이터 11분08초 : DMZ 전경이 보인다. 차량이 질주하고 있다. (12분24초) DMZ에서 Y형 철 책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초소와 그 언덕 아래 미군들이 공사를 감독하고 있다. # 9롤 슬레이터 13분16초 : 1967년 10월 3일 헬기가 DMZ 일대 광경을 보여주고 있다. (13분40초) 오하이오(Ohio) 고지, 메이즈(Mazie) 전진초소를 비추고 있다. 그 아래 기지들이 보인다. (14분12초) 파주 벌판과 멀리서 자유의 다리(임진강 철교)가 보인다. # 15분 : 장면이 바뀌어서, 판문점과 공동경비구역 전경이 보인다. (15분52초) 비무장지대의 철책이 설 치된 모습이다. 모두 Y자형 철책이다. 산의 능선을 따라서 철책이 설치되었다. (16분56초) 216고지에 설치된 철책 모습이다. # 20분20초 ; 장면이 바뀌어서, 임진강이 보인다. 임진강 철교와 파괴된 철교 교각이 보인다.

https://www.youtube.com/embed/P4M_dXkiC_Y

/151.-d.m.z-activities/

154SPDP TEAM A

431-1B-70-KO

이 영상은 1970년 7월 26일 미 2보병사단의 1레크리에이션센터 내부와 외부 모습이다. 이곳은 1955년부터 1971년까지 법원읍 법원리 용주골에 24보병사단과 1기병사단 7연대, 2보병사단 등이 이용했다. 주로 병사들이 휴일에 와서 각종 게임이나 기타 여가활동을 할 수 있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30분15초

CLARK

법원읍 용주골

F1 RG 111-LC-55900 F2 1970.7.26 F3 법원읍 용주골 F4 SPDP TEAM A F5 CLARK F6 유성 F7 30분15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07초 : 미군 클럽, 주변에 차량들이 이동한다. 1레크리에이션센터 앞의 도시 풍경. 기 지 정문. 정문을 통과해 기지 안으로 들어간다. (5분33초) 2사단 박물관 정문 # 4롤 슬레이트 16분41초 : 운동장에서 자동차 경주하는 모습. (22분09초) 기지 철조망 밖에서 자동차 경주를 구경하는 한국 아이들.

https://www.youtube.com/embed/9mvHU3ZEGbc

/r2-dmz판문점/s2-dmzmdr/154.-431-1b-70-ko/

156미 8군

EUSA #62

이 영상은 1953년 4월 20일 판문점에서 부상포로 교환 작전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분1초

Garoner

판문점

F1 RG 111-LC-32388 F2 1953.4.20 F3 판문점 F4 미 8군 F5 Garoner F6 무성 F7 2분1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z-CRyE5CHUc

/r2-dmz판문점/s2-dmzmdr/156.-eusa-62/

157해당없음

해당없음(한국 공군 활동)

한국공군의 활동 장면 등이 담겨 있다.

9분13초

해당없음

해당없음

F1 RG 342-USAF-42779-1 F2 1967.4.15-16 F3 해당없음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유성 F7 9분13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_IZJN_99gyE

/r2-dmz판문점/s2-dmzmdr/157.-해당없음한국-공군-활동/

158해당없음

해당없음(한국 공군 활동)

한국공군의 활동 장면 등이 담겨 있다.

9분13초

해당없음

해당없음

F1 RG 342-USAF-42779-2 F2 1967.4.15-16 F3 해당없음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유성 F7 9분13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xYxtGE32SUw

/r2-dmz판문점/s2-dmzmdr/158.-해당없음한국-공군-활동/

159해당없음

IMJIN RIVER - KOREA

이 영상은 1951년 7월 임진강 홍수로 인해 유실된 임진나루의 기러기(Honker) 다리 재건장면이다.

4분34초

SAM HAROG|LISIC M

임진나루

F1 RG 342-USAF-19947 F2 1951. 08. 19 F3 임진나루 F4 해당없음 F5 SAM HAROG, LISIC M F6 무성 F7 4분34초

숏 리스트 # 슬레이트 없음. 3초 : 임진강 나루에서 가교 공사가 진행 중이다. # 슬레이트 1분10초 : 1951년 8월 18일, 장소 개성 미군들이 임진나루에서 가교 공사를 계속하고 있다. 교각 세우기 작업. (2분05초) 임진강 가교가 완성 되어 가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q8g1hF4iSRY

/r2-dmz판문점/s2-dmzmdr/159.-imjin-river-korea/

160해당없음

해당없음(미군과 한국군 활동)

미육군 2보병사단과 한국군이 전방 관측소에 들어가는 미군들과 초소에서 바라보는 북한 지역, 전차로 이동하는 장면 등이 담겨 있다. 미군과 한국군의 수사팀이 미확인 병사가 도랑에 사망한 것을 보여주고, 전초 기지에 기관총을 거취한 상태에 있는 미군이 나온다.

14분37초

해당없음

DMZ

F1 RG 342-USAF-42943A-1 F2 1967 F3 DMZ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14분37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NHbVG7fXiHI

/r2-dmz판문점/s2-dmzmdr/160.-해당없음미군과-한국군-활동/

1657333통신중대

해당없음(DMZ)

북한과 한국의 DMZ를 순찰하는 군대 활동, DMZ에서 쌍안경을 관측지점으로 바라보고 있는 장면, 검문소를 지나는 차량과 근무 서는 헌병 모습이 담겨 있다.

10분11초

MANCHES

DMZ

F1 RG 342-USAF-42549 F2 1967.3.27 F3 DMZ F4 7333통신중대 F5 MANCHES F6 무성 F7 10분11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6l-guOW3tkI

/r2-dmz판문점/s2-dmzmdr/165.-해당없음dmz/

166해당없음

해당없음(판문점)

이 영상은 1969년 2월 판문점 상공에서 판문점 주요 건물과 공동경비구역 일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눈보라치는 판문점 일대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2분46초

해당없음

판문점

F1 RG 428-NPC-41720 F2 1969.2. F3 판문점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2분46초

숏 리스트 # 1롤 슬레이트 14초 : 눈보라치는 광경. (24초) 이륙한 헬리콥터에서 공동경비구역의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장의 조감도를 보여준다. (1분30초) 또한 자유의 집, 돌아오지 않는 다리와 다리의 북한 측 경비초 소를 보여준다. 눈이 쌓인 돌아오지 않는 다리, (2분25초) 판문점 주변 도로와 북한쪽 지역이 보인다. 미군들이 팔각정 형태의 경비초소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Ylikc8IWSqQ

/r2-dmz판문점/s2-dmzmdr/166.-해당없음판문점/

167해당없음

해당없음(판문점, 개성)

이 영상은 1951년 9월 24일 개성에서 판문점으로 정전협상 장소를 이전을 논의하는 시기이다. 앞의 영상 중 ADC-9558은 1951년 10월 18일 촬영분인데 개성에서 판문점으로 이동한 뒤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NPC-14703 영상은 개성과 판문점 등을 교차해 보여주고 있는데 회담장소를 논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4분23초

해당없음

판문점|개성

F1 RG 428-NPC-14703 F2 1951.9.24 F3 판문점, 개성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4분23초

숏 리스트 # 슬레이트 없음. 3초 : 헬기가 이륙해 비행하고 있다. (12초) 다리 위에 미군들과 차량들이 서 있다. 부분적으로 파괴된 다리 전경이 보인다. (1분14초) 판문점의 초가집. 기자가 미군과 북한인민군대표를 촬영하고 있다. 미군, 북한, 중국군 관계자들이 서서 협의하는 장면. 초가집을 뒤로 하고 미군들이 지 프차를 타고 떠나고 있다. # 슬레이트 없음. 2분11초 : 미군 대표들이 개성 내봉장으로 들어간다. 내봉장 내부 모습과 기자들이 모여 있다. (3분14초) 미군 대표들이 내봉장을 나오고 있다. (3분58초) 미군들이 지프차로 내봉장을 떠 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oSTaeBqUE5w

/r2-dmz판문점/s2-dmzmdr/167.-해당없음판문점-개성/

168미8군

PANMUNJOM KOREA-JSA

이 영상은 1968년 6월 판문점 자유의 집 부근에서 북한의 침투 관련 무기들이 전시되고 있다. 이 시기 김신조의 청와대 습격사건과 푸에블로호 사건 등으로 위기촉발되었다. 자유의 집 앞에서 북한 노획 무기 전시는 김신조 사건 때 북한군들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8분44초

CROCKETT

판문점|공동경비구역(JSA)

F1 RG 428-NPC-39751 F2 1968.6.26 F3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F4 미8군 F5 CROCKETT F6 무성 F7 8분44초

숏 리스트 # 2롤 슬레이터 03초 : 판문점으로 들어가 입구가 멀리서 보인다. 헬기가 착륙하고 있다. (2분22초) 차 량들이 판문점으로 들어간다. 여러 대의 차량들이 출발하고 있다. (3분03초) 공동경비구역에서 각국 경 비병들이 막사 앞에 서 있다. 미군, 중감위 국가 등이다. JSA 근무 요원들이다. (4분29초) 검소로 차량 들이 들어온다. (5분32초) 총기 등이 전시되고 있다. 북한 관련 노획품들이다. 총기 수류탄, 옷 등이다. (7분45초) 자유의 집이 보인다. 주변 사람들이 모여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pul_IZiVJRw

/r2-dmz판문점/s2-dmzmdr/168.-panmunjom-korea-jsa/

169해당없음

해당없음(개성, 판문점)

이 풍경은 개성에서 열리는 회담 장면과 판문점 모습을 보여준다.

1분43초

해당없음

개성|판문점

F1 RG 428-NPC-11349-1 F2 1951.9.27 F3 개성, 판문점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1분43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kPdd8pMNqNo

/r2-dmz판문점/s2-dmzmdr/169.-해당없음개성-판문점/

170해당없음

해당없음(개성, 판문점)

이 풍경은 개성에서 열리는 회담 장면과 판문점 모습을 보여준다.

1분43초

해당없음

개성|판문점

F1 RG 428-NPC-11349-2 F2 1951.9.27 F3 개성, 판문점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1분43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MtDHnzGDKYE

/r2-dmz판문점/s2-dmzmdr/170.-해당없음개성-판문점/

171해당없음

PROJ 144-68, MAC

공중에서 본 판문점 전체 전경과 그 주변 풍경이 담겨 있다.

10분23초

해당없음

판문점

F1 RG 428-NPC-40294 F2 1968.7. F3 판문점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10분23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nl5bvm4_D0w

/r2-dmz판문점/s2-dmzmdr/171.-proj-144-68-mac/

17212812

PROJ 144-68, MAC

판문점의 회담장소가 보이며 그 주변에 경비병 헌병들이 서 있다. 회담장에서 창문을 통해 보는 경비병과 회장장 안에 있는 북한군 모습 등이다. 이 영상은 군사정전위원회가 열린 판문점이다.

10분11초

해당없음

판문점

F1 RG 428-NPC-40296 F2 1968.7.21 F3 판문점 F4 12812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10분11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Y3mETRWBNlA

/r2-dmz판문점/s2-dmzmdr/172.-proj-144-68-mac/

173해당없음

해당없음(판문점 전경)

판문점 전경이 보인다.

9초

해당없음

판문점

F1 RG 428-NPC-41097 F2 1968.2.11 F3 판문점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9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KBAFGmjj0a4

/r2-dmz판문점/s2-dmzmdr/173.-해당없음판문점-전경/

175해당없음

해당없음(판문점)

판문점에서 북한군 기자들이 카메라를 들고 촬영하는 장면, 미군이 북한군을 촬영하는 장면이 나온다. 회의장 안을 촬영하는 북한과 미군들이 보이고, 판문각과 이동하는 북한군 모습 등이 이어진다. 전시된 각종 탄창과 총 등이 나온다.

11분02초

해당없음

판문점

F1 RG 428-NPC-41219 F2 해당없음 F3 판문점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무성 F7 11분02초

해당없음

https://www.youtube.com/embed/V4OlIFmt3d4

/r2-dmz판문점/s2-dmzmdr/175.-해당없음판문점/

176해당없음

PROJ UO 101-69/3

이 영상은 1969년 5월 대성동 마을 일명 ‘자유의 마을’이라고 불리는 전략촌이다. 1954년 2월 3일 귀농선 확정이후 민통선 마을이 생겨났다. 이 시기 군사분계선으로부터 25km 이내에 민통선 지역인 강화, 김포, 파주 등지에는 62개의 자립안정촌(61곳)과 비무장지대촌(1개)이 지정되었다. 자립안정촌은 군의 통제가 비교적 약한 곳으로 입주민은 주로 원주민과 출입경작자를 포함한 이주들로 구성되었으며 마을 출입을 제외하면 일반 농촌마을과 같았다. 비무장지대촌은 자립안정촌과 달리 북한의 선전촌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마을이다. 대성동 ‘자유의 마을’은 비무장지대촌이자 전략촌(Strategic Hamlet)인데 임주조건이 매우 엄격하고 군복무를 필한 사람, 신체 건강하고 영농 능력이 있는 사람, 사상이 건전하고 전과 사실이 없는 사람, 주벽 및 도벽이 없고 채무가 없는 사람이어야 입주할 수 있었다. 전략촌은 1962년 미군에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의 주민들을 분열시키고자 만들어진 농촌 마을을 말한다. 대성동 마을은 1953년 8월 3일 비무장지대촌으로 지정되었고 1960년 3월 11일 미군에서 대성동 마을 주택 프로젝트의 시찰 및 평가가 이뤄졌다. 주택은 30가구 27평 규모이며 마을 회관은 주택보다 작은 14평이었다. 공사는 한국군 민사과, 미군 공병대 등이 참여했다. 1차 주택공사는 1959년 10월 착공해 미군 군사대한원조프로그램에 따라 학교 건축, 마을회관 등을 건설했다. 영상은 대성동 마을 주택과 마을회관, 마을주민들의 활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분 13초

CROCKETT

자유의 마을

F1 RG 428-NPC-42312 F2 1969.5.15 F3 자유의 마을 F4 해당없음 F5 CROCKETT F6 무성 F7 3분 13초

숏 리스트 # 슬레이트 06초 : 마을 전경. 기와집. 논과 마을 전경. 지개를 지고 가는 마을 주민과 닭들이 보인다. 한 아이가 닭을 보고 있다. 마을 전경이 다시 보인다. 한 주민이 밭에서 일하고 있다. (1분40초) 주민 들이 마을에서 작업하고 있다. “태권도 연무관 자유의 마을도장” 간판. 마을 전경이 다시 보인다. (2분 24초) 태극기 게양대와 건물, 마을 전경이 다시 보인다.

https://www.youtube.com/embed/uN6c1WK3ipU

/r2-dmz판문점/s2-dmzmdr/176.-proj-uo-101-693/

179해당없음

해당없음(DMZ)

이 영상은 1953년 8월 파주 DMZ에서 비무장지대 표지판을 설치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미 해병1사단 1공병대대원들은 1953년 8월 25일부터 파주 DMZ에서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출입금지’ 표지판 작업을 펼쳤다. 따라서 비무장지대 표지판 설치 작업 관련해 문서, 사진, 영상 등이 존재한다. 영상은 1953년 8월 촬영되었지만 1957년 3월 파라마운트사에서 재편집한 것이다.

13초

해당없음

DMZ

F1 RG PARA-PN-12.101 F2 1968.6.26 F3 DMZ F4 해당없음 F5 해당없음 F6 유성 F7 13초

숏 리스트 # 00초 : “SOUTH LIMIT DEMILTARIZED ZONE DO NOT ENTER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출입금지 非武裝地區南界” 라는 표지판을 군인이 철조망과 연결하고 있다. 트럭을 비무장지대로 들어가는 군인 들 (10초) 한국군들이 소총을 메고 이동하고 있다. 군인들이 “SOUTH LIMIT DEMILTARIZED ZONE DO NOT ENTER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출입금지 非武裝地區南界” 라는 표지판을 매단 나무문에 서 있다. 군인들이 나무문을 닫고 있다.

https://www.youtube.com/embed/jT9uF5d0yi0

/r2-dmz판문점/s2-dmzmdr/179.-해당없음dmz/